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봉황문원와당(鳳凰文圓瓦當)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봉황문원와당(鳳凰文圓瓦當)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쌍조문수막새[쌍조문원와당(雙鳥文圓瓦當)] 또는 봉황무늬수막새[봉황문원와당(鳳凰文圓瓦當)]로 불리는 안압지(雁鴨池) 출토품이다. 태토(胎土)는 모래가 약간 혼합되고 단단하며[경질계(硬質系)] 회색(灰色)을 띠고 있다. 문양은 두 마리의 새와 보리수 나무‚ 그리고 상하(上下)의 꽃잎으로 구성되었다. 두 마리의 새는 연꽃 위에 앉아 보리수 나무를 입에 물고 날개와 꼬리를 활짝 펴 매우 역동적인 모습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 새의 몸통 표현은 볼륨감 있게 처리되고 외부곡선은 유려하다. 주연부(周緣部)의 표면에는 직경 약 0.5cm인 구슬무늬[주문(?文)]가 동일한 간격으로 돋아나 있는데‚ 이러한 구슬무늬는 삼국시대에 제작된 기와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드문 예로 오직 통일신라 전후에 번조(燔造)된 와당에서 많이 나타난다. 쌍조문수막새가 출토되는 유적지는 경주 인근의 감은사지(感?寺址)‚ 고선사지(高仙寺址)‚ 사천왕사지(四??寺址)‚ 안압지(雁鴨池) 등이며 아마도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전반에 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쌍조문은 서역(西域)과 중국‚ 한반도에서 사용된 문양으로 당시 서역과의 문화적 교류를 알 수 있게 하는 자료로 판단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