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놋대야

추천0 조회수 15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놋대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물을 담아 세수 ·세탁을 할 때 쓰는 넓적한 그릇을 대야라고 한다. 옛날에는 손과 얼굴을 씻는 데만 썼으며‚ 질그릇 ·나무 제품이었고 놋쇠 제품이 일반화된 것은 중세 이후이다. 오늘날에는 세면기류 ·세탁기의 보급으로 세수 ·세탁용보다는 식기 등을 씻거나‚ 아이를 목욕시키는 데 많이 쓴다. 재료도 함석 ·알루미늄 ·합성수지 등이 많이 쓰인다. <놋그릇> 우리는 주변에서 푸르스름하게 녹이 낀 놋그릇이나 놋수저 같은 것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바로 이 그릇이나 수저들은 얼마전까지만 해도 우리 살림살이에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었다. 놋그릇의 재료는 성분과 비율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넓은 의미로는 구리를 기본으로 하는 비철금속계의 합금이다. 따라서 놋그릇의 시원은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때부터 청동제품이 순동제품보다 널리 쓰이게 되면서 석기로 만들어 쓰던 무기나 실용품이 청동으로 바뀌게 된다. 우리나라는 B.C. 1000년쯤에 처음으로 청동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부터 청동야금술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정교한 구리칼과 구리거울 등을 남기고 있는데‚ 청동기를 만들어내던 화석 거푸집이 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그 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는 금속의 재료나 기술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다. 유석(鍮石)은 놋그릇의 재료가 되었으며‚ 이 합금은 특히 "신라동(新羅銅)"이라 불리면서 널리 중국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놋그릇은 청동기 시대 이래로 이어져 오는 우리겨레의 청동가공기술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놋그릇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주물유기와 방짜유기로 나뉘는데‚ 주물유기는 놋쇠를 녹여 해감모래거푸집에 녹은 쇳물을 부어 만드는 것이고‚ 방짜유기는 놋쇠를 녹여 바둑을 만든 다음 이 바둑을 불에 달구면서 망치나 메로 쳐서 모양을 잡아 가며 만드는 것이다. 두 가지 놋그릇 가운데 방짜유기가 먼저 사용되었는데‚ 그 뒤 놋그릇이 대중화됨에 따라 일이 번거롭고 값비싼 방짜보다는 만들기 쉽고 한꺼번에 많은 양을 만들 수 있는 주물 방법을 썼다. 놋그릇 가운데 징‚ 꽹과리‚ 대야‚ 양푼‚ 식기‚ 수저 등은 방짜기법으로‚ 촛대‚ 향로‚ 화로는 주로 주물기법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놋그릇에서는 우리 선조들만의 독특한 합금 기술과 과학 슬기를 엿볼 수 있다. 즉 놋그릇에 사용되는 청동합금의 조성은 구리 78a 주석 22?? 이 가장 질 좋은 합금을 방짜라 하고 질이 떨어지는 합금을 퉁짜라 한다. 오늘의 재료공학에서는 주석의 함유량이 20q 넘으면 재료가 매우 취약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합금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 선조들은 놋그릇을 만들때 이 합금 조성이 정확하지 않으면 놋그릇을 만들 수 없다. 실제 유기의 산업화를 위해 현대 재료 공학이론에 따른 권장비율로 놋그릇을 만들어 보았으나 놋쇠가 너무 찐득찐득하여 만들지 못했던 사례가 있다. 또한 금속이 가지고 있는 성질을 이미 잘 파악하여 그 성질을 적절히 이용하는 과학 슬기도 엿볼 수 있는데‚ 금속은 열을 가하면 열풀림현상으로 연해지는 성질과 두드리면 두드릴수록 단단해지는 가공경화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금속의 성질을 적절히 이용한 것이 방짜기법이다. 아울러 놋그릇은 납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음식을 담는 그릇으로 아주 전망이 좋을 뿐 아니라 그 독특한 합금기술을 첨단 소재 개발 등에 활용한다면 다시 한번 안성맞춤의 명성이 세계로 뻗어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정동찬‚『옛것도 첨단이다』‚민속원‚ 2001. 두산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