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향로

추천0 조회수 7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향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향로(香爐):향을 피우는 자그마한 화로. <유래 및 발달과정> 향을 사르는 데 사용하는 분향기구의 총칭으로 향이라 함은 ‘향내가 나는 물건’으로 사람의 입냄새나 몸때의 냄새를 제거하고 집안이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의 갖가지 취기를 없애기 위해서 사용된 것을 말한다. 이런 향은 나쁜 냄새의 기운을 소멸하는 것뿐만 아니라 마음의 때까지도 씻어 준다하여 불교의 설법장소에서까지 즐겨 사용되었다. 향의 사용방법에는 도향과 소향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하는데 도향이란 명향가루를 정수에 혼합하여 몸에 바르는 방법이고 소향이란 도향과 달리 향을 불살라서 쐬는 방법을 말하는데 이에 반드시 불을 사르기 위해서는 그릇이 필요하게 되고 그것이 바로 향로인 것이다. 향로는 일반적인 향로와 불교적인 향로가 구분되는데 제사를 지낼때 쓰는 일반적인 향로와는 달리 불교적인 향로는 불보살에게 공양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불구의 하나인 향로는 불교의 발생지 인도에서부터 비롯된 공양구 향로(1) 촉대(2) 화병(2) 3개품목 5개를 1조로하는 오구족(五具足)중 가장 으뜸으로 여긴다. 향로는 중국 주나라 말기에서부터 시작하여 한대에는 벽산형의 향로가 유행하며 남북조시대에는 불교적 향로인 병향로로 발전 이후 수당시대를 배경으로 한 정형. 삼족형. 화사형 향로 등은 송원명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편 불교를 수용하는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수많은 사찰을 건립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향공양이 끊이지 않았을 것이며 향로 또한 일찍부터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그러나 현재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박산형향로와 병향로가 한 두점 전하여 올 뿐 그 유례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어떠한 형태가 크게 유행하였는지는 명확히 이해하기란 어렵다. 이 후 금속공예의 발달과 함께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기본형태를 이루고 있는 청동제고배형 향로가 출현하게 되는데 넓은 테두리가 둘러져 있는 밥그릇 모양의 몸체와 상협하관의 나팔모양 대로 구성되어 있다. 향로의 재료는 크게 토제.도제.금속제.석제.목제 등으로 구분되는데 삼국시대 이후 통일신라까지는 주로 토제 향로가 성행하였고 고려시대에는 청자와 청동제 향로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유교가 득세하였던 조선시대에는 불교적 향로보다는 유교적 성향이 강한 일반 제기로서의 백자와 유제 향로가 널리 애용되었다. 향로는 형태에 따라 거향로. 병향로. 현향로의 세가지로 구분하는데 거향로는 어떠한 지정된 장소에 배치하여 향을 공양하거나 쐬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박산형. 정형. 삼족형. 장방형.고배형 등이 속하며 이와 달리 병향로는 안치하기보다는 손에 들고 다니기 좋도록 거향로에 20-30㎝ 가량의 손잡이가 달려 있는 것을 말하며 현향로는 방이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걸어둘 수 있게 밑이 둥근 그릇에 고리가 달려 있는 것을 가리킨다. 이들 향로는 다시 용도에 따라 예배용(불보살에게 향을 공양하기 위하여 불단에 안치). 완향용(향을 사름으로써 세속의 모든 냄새와 함께 번뇌망상으로 사라지게 하고 청정한 법열의 삼매경으로 들어가게 한다.).의식행렬용(불보살으 예배하거나 의식행렬의 앞에서 선도할 때 사용) 등 세가지로 분류한다. 향로의 명칭은 향로 외에도 화완 향완 등이 쓰이는데 향로란 기형에 관계없이 향공양구를 통틀어 말하는 것이고 화완과 향완은 밥그릇모양의 몸체에 나팔모양의 높은 대를 갖춘 고배형만을 한정하여 이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향로는 불교금속공예의 연구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당시의 직제와 사회상 그리고 불교미술의 전반적인 흐름까지도 짐작하게 해주는 것으로 우리나라 미술사상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하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