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각상자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각상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사각상자(四角箱子)는 직육면체형의 종이상자이다. 얇은 내의류‚ 각종 편지나 서류 등 간단한 생활용구를 보관하는데 사용한다. 종이상자를 만드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종이를 여러 겹 발라 만든 두터운 종이인 후지(厚紙)로 상자의 형태를 만든 것과 대[竹]나 얇은 나무판재로 골격을 만들고 그 안팎에 종이를 두세 겹 발라 형태를 만든 것이 있다. 전자는 지장(紙裝)이라 하여 비교적 무게를 적게 받는 작은 물건을 만들 때 사용했고‚ 후자는 목골지장(木骨紙裝)이라 하여 규모가 큰 물건을 만들 때 사용했다. 종이상자는 형태를 잡은 후 갖가지 천연염료로 물들인 오색종이로 무늬를 오려붙여 장식하는데‚ 남성용품에는 주로 검정 장지를 바르거나 두꺼운 종이로 무늬를 오려붙이고 그 위에 짙은 색의 한지를 붙여 밑의 무늬가 도드라지게 표현한 양각기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에 반해 여성용품은 다양한 투각무늬로 장식하는데 대개 삼태극(三?極) 문양을 기본으로 하여 부귀와 다남(太男) 등을 상징하는 박쥐무늬·호접무늬[胡蝶文] 등을 장식하여 붙였다. 종이를 바를 때는 대개 쌀풀을 사용하였고‚ 내구성과 내습성을 높이기 위해 종이로 만든 상자 표면에 식물성 기름을 먹이거나 옻칠을 하여 마감하였다. 종이상자의 형태는 직사각 외에도 정사각‚ 육각‚ 팔각형 등 다양하며‚ 다른 크기의 상자를 여러 개 만들어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겹쳐 넣기도 한다. 대개 삼합(三合)이나 오합(五合)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종이상자는 색지를 이용하여 목기나 나전칠기와는 다른 화사함과 포근한 멋을 나타낸다. 상자의 재료인 한지는 지질이 부드럽고 통풍이 잘 되며 질겨서 잘 찢어지지 않고 냄새가 향긋하며 먹물을 잘 빨아들인다. 그래서 한지는 상자·반짇고리·실첩 등 소품뿐만 아니라 장(欌)이나 농(籠)과 같은 큰 가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물건을 만드는 데 이용되었다. 지공예(紙工藝)는 양반층과 서민층에서 모두 성행하였으며 특히 여성들의 수공예품으로 발달하여 혼수용품으로 인기가 높았다. 이 사각상자는 직육면체형이다. 상자와 뚜껑은 오색 색지로 태극문양을 장식하였고 모서리에 짙은 자주색 테를 둘렀다. 〈참고문헌〉 광주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0)‚ 한국의 전통공예기술-"지공예"-(임영주 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조선조목공예(국립중앙박물관‚ 1989)‚ 색지공예(금광복‚ 대원사‚ 1990)‚ 종이공예문화(임영주/상기호‚ 대원사‚ 1996)‚ 한국 목가구의 전통양식(배만실‚ 이화여대출판부‚ 1988)‚ 한국의 종이문화(국립민속박물관‚ 1995) 〈사진자료〉 한국의 지공예(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 1987) 〈기타참고〉 사각상자 만드는 방법(색지공예‚ 금광복‚ 대원사‚ 1990) 〈유사·관련용어〉 지장상자‚ 종이상자‚ 색지상자‚ 색상자‚ 오색상자‚ 삼합상자‚ 삼합오색상자(三合)‚ 오합오색상자(五合)‚ 지공예‚ 지장(紙裝)‚ 목골지장(木骨紙裝)‚ 오색색지공예‚ 오색전지공예(五色剪紙工藝)‚ 오색한지공예‚ 종이‚ 후지(厚紙)‚ 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