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고추장독

추천0 조회수 7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고추장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독은 고추장을 담아 보관하던 용기이다. 뚜껑이 있고‚ 불룩한 배 부분에 세 줄의 띠가 그려져 있다. 입술 끝이 외반되어 있으며‚ 몸체는 어깨에서 약간 벌어져 하부로 가면서 좁아진다. 표면은 균일하지 않고‚ 입술 부분이 깨어져 있다. 굽바닥은 편평하고 낮다. 독은 옹기의 한 종류로서 항아리 또는 옹(甕‚ 瓮)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은 것을 항아리‚ 큰 것을 독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 한편 고고학에서는 입 모양이 좁고 배가 불룩한 것을 항아리‚ 입 모양이 넓은 것을 독으로 분류한다. 독은 그 속에 저장한 음식이 쉽게 썩거나 변질되지 않고 물기가 스며 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디. 그래서 오랫동안 저장하며 숙성시켜야 하는 고추장‚ 된장‚ 간장‚ 젓갈‚ 김치와 같은 발효음식을 담아 두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발효음식 이외에 물이나 소금 등을 담아 두기도 한다. 독은 자연환경과 만드는 사람에 따라 독특한 지역문화를 형성한다. 충청도 지역의 독은 입지름과 밑지름이 거의 동일하고 형태가 둔탁하다. 경기도와 서울의 독은 홀쭉한 몸체에 난초 문양이 그려진 것이 많으며‚ 뚜껑의 중앙에 연꽃봉오리 모양의 꼭지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경상도의 독은 아가리가 좁고‚ 어깨 부분이 각진 것과 둥글게 된 것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전라도의 독은 배가 불룩하게 많이 나온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겨레과학인 우리공예(정동찬 외‚ 민속원‚ 1999)‚ 옹기(정명호‚ 문화재관리국‚ 1987)‚ 옹기(이훈석‚ 정양모‚ 정명호‚ 대원사‚ 1991)‚ 옹기와의 대화(정병락‚ 옹기민속박물관‚ 1997)‚ 옹기특별전(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 1992)‚ 우리의 부엌살림(박록담·윤숙자‚ 삶과 꿈‚ 1997) <사진자료> 옹기(정명호‚ 문화재관리국‚ 1987)‚ 옹기(이훈석‚ 정양모‚ 정명호‚ 대원사‚ 1991)‚옹기와의 대화(정병락‚ 옹기민속박물관‚ 1997)‚ 옹기특별전(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 1992) <유사·관련 용어> 독‚ 옹‚ 옹기‚ 질그릇‚ 오지그릇‚ 항아리‚ 단지‚ 오가리‚ 동우‚ 독그릇‚ 도깨그릇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