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따비

추천0 조회수 7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따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따비는 땅을 일구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농기구이다. 이것은 농경문화 이전의 수렵채집민이 사용하던 뒤지개[굴봉(掘棒)]가 발달한 것으로 뒤에 쟁기나 극쟁이로 발달하였다. 따비는 손잡이를 두 손으로 잡고 중간의 가로목[답판(踏板)]을 발로 밟아 사용하였다. 쟁기보다 끝이 뾰족하며‚ 돌밭 같이 지형이 협소한 곳이나 산간에서 쟁기대용으로 사용한다. 요즈음에는 솔뿌리나 청미래 넝쿨 등을 캐는데 따비를 쓰기도 하는데 이를 `솔따비`라고 부른다. 그리고 따비로나 갈 수 있을만한 좁은 땅을 `따비밭`이라고 한다. 따비는 날의 모양에 따라 `말굽쇠형.코끼리 이빨형.송곳형.주걱형`이 있다. 근래까지 섬이나 해안 지방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따비로는 하루에 150∼200평의 밭을 갈 수 있었다고 한다. 지역에 따라서 따보(전라남도 영광군).따부(경기도 덕적도 등지).탑(함경북도) 등으로도 부른다. 따비는 한반도에 농경기술이 도입된 청동기시대부터 거의 전국적으로 사용된 대표적인 농기구이다.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여러 곳에서 따비의 날이 출토되었다. 예를 들면 평북 위원군 고분에서 명도전(明刀錢)과 함께 따비의 날이 나왔으며‚ 낙랑군 고분에서 출토된 전(塼)에도 사용한 그림이 보인다. 또 백제 고분에서 출토된 말굽쇠 형 따비의 날이 부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농업기술의 발전에 따라 내륙에서는 100여년 전에 사라졌으며‚ 서해도서 및 해안지대와 제주 등지에서 근래까지 활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따비는 날의 형태에 따라 대체로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말굽쇠형 따비(경기도 해안): 말굽형 따비라고도 하며‚ 앞쪽으로 약간 휘어나간 몸체 위쪽에 손잡이를 가로대고 몸체 중간의 턱이 진 곳에 홈이 패인 발판을 달았다. 그리고 극쟁이의 보습처럼 몸체 끝을 얇게 깎았으며 여기에 말굽쇠 모양의 쇳날을 끼었다. 가로 끼운 손잡이를 옆으로 돌려서 흙을 떠엎는데 주로 사용하였다. 무게는 몸체 6.9Kg‚ 날이 800g정도이다. ②코끼리 이빨형 따비(전라도.제주도.충청도): 발판까지의 몸체는 말굽쇠형과 비슷하지만‚ 손잡이가 따로 없이 위 끝이 앞으로 길게 휘어서 뻗어 나갔다. 발판 아래쪽에는 코끼리의 이빨처럼 끝이 뾰족한 세모꼴의 쇳날 두 개를 박았기 때문에 `쌍따비`라고도 한다. 길게 휘어진 자루의 날을 땅에 박고‚ 자루의 끝을 아래로 잡아내리면 흙이 떠올려 진다. 자갈밭에서 쓰기 알맞으며‚ 무게는 9Kg정도이다. ③주걱형 따비(제주도): 형태는 말굽쇠형과 비슷하나 날의 모양이 다를 뿐이다. 판 아래의 몸체 끝에 끼운 쇠날은 통으로 부어 만든 것으로 윗부분이른쪽에 발을 올려 놓을만한 옆가지가 달려 있다. 이 유물은 뾰족한 외날이 끼워져 있는 주걱형 따비이다. 날은 철제 주걱형이며 나무자루를 끼었는데 자루가 원통으로 굽었다. 날의 상부와 자루 사이에 가로대를 끼워 발로 밟을 수 있게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농기구‚ 따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속대사전-따비-(한국민속사전 편찬위원회‚ 1991)‚ 농기구(박대순‚ 1990)‚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광주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7)‚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한길사‚ 1992)‚ 갈이농구(전라남도 농업박물관‚ 1997)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농기구‚ 따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속대사전-따비-(한국민속사전 편찬위원회‚ 1991)‚ 농기구(박대순‚ 1990)‚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광주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7)‚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한길사‚ 1992)‚ 갈이농구(전라남도 농업박물관‚ 1997) <유사.관련용어> 장참‚ 따보‚ 따부‚탑‚ 뒤지개‚ 굴봉(掘棒)‚ 말굽쇠형 따비‚ 말굽형 따비‚ 코끼리 이빨형 따비‚ 쌍따비‚ 주걱형 따비‚ 송곳형 따비‚ 솔따비‚ 따비밭 둥글고 날의 너비가 좁은 편이며 날 끝이 주걱처럼 둥그스레하다. 몸체 중간에 말굽쇠형 따비와 같은 모양의 발판을 단다. 제주도에서는 발판이 달리지 않고 코끼리 이빨형처럼 자루가 길게 뻗어나간 것을 쓰기도 한다. ④송곳형 따비(제주도): 대체로 뒤지개 형태와 비슷하며‚ 따비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형태로 날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다. 몸체는 곧으며 중앙부의 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