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손저울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손저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손저울은 손으로 쥐고 다닐 수 있는 작은 저울을 가리킨다. 이 저울에는 가는 원통형의 저울대가 있는데 저울대의 한쪽 끝에는 구멍이 3개 뚫려 있다. 맨끝의 구멍에 끈으로 갈고리를 연결하고 안으로 2개의 구멍에는 저울의 중심을 잡는 짧은 끈을 연결하였다. 저울의 추는 망사실로 싸서 끈으로 연결하였다. 이상과 같이 저울대와 추‚ 끈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아서 대저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저울대의 길이와 추의 높이를 볼 때 대저울 중에서도 소칭이나 중칭 정도일 것으로 판단된다. 추는 돌로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정확한 무게를 재는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 형태를 보아도 관에서 만든 규격품이 아닌 민간에서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저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한가지가 대저울이다. 대저울은 저울대에 눈금을 매기고 물체의 무게에 따라 추를 이리저리 움직여서 평행을 이루었을 때 무게를 알아내는 저울이다. 대저울은 가벼운 것에서 무거운 것까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분류한 것이 소칭‚ 중칭‚ 대칭이다. 조선시대의 법전인 {경국대전}에는 대저울의 종류에 따라 무게를 규정하고 있다. 소칭은 3근 혹은 1근‚ 중칭은 20근 혹은 7근‚ 대칭은 100근으로 규정하고 있다. 소칭은 주로 약재나 금·은 등의 무게를 다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중칭은 주로 곡물‚ 야채 등 생활용품을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대칭은 쌀가마‚ 보리가마‚ 돼지 등 주로 무거운 물건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대칭은 손으로 들 수 없기 때문에 보통 틀에 걸어서 사용한다. <참고문헌> 경국대전‚ 한국의 도량형(국립민속박물관‚ 신유문화사‚ 1997)‚ 도량형과 국악논총-박흥수박사화갑기념논문집(박흥수‚ 박흥수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회‚ 1980) <사진자료> 한국의 도량형(국립민속박물관‚ 신유문화사‚ 1997) <유사·관련용어> 추‚ 칭‚ 대저울‚ 소칭‚ 중칭‚ 대칭‚ 분동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