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제ㄱ자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제ㄱ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ㄱ자`자는 주로 치수를 재는 데 사용하는 목공도구이다. 다른 말로는 `곱자`라고 하며‚ 제주도 지방에서는 `곱은 자`라고도 한다.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드는 데‚ 긴 쪽을 `장수(長水)`‚ 짧은 쪽을 `단수(短水)`라 한다. 일반적으로 정해진 크기는 없지만 보통 긴 쪽 길이를 1자 반 또는 1자로 만든다. 대개 큰 것은 큰 규모의 목재구조물을 만드는 대목들이 사용하고‚ 작은 것은 가구를 만드는 소목들이 사용한다. 재질은 목재로 만드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쇠로 만들어 쓰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나무로 만든 것을 흔히 사용하였으나‚ 일제 때에는 쇠로 만든 것을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ㄱ자`자는 눈금이 그려져 있는 곡자(曲尺)와 눈금이 없는 구(矩) 두 종류가 있다. 눈금이 있는 것은 앞뒤로 눈금의 치수비를 1: 2로 하여 정방형 자재의 대각선과 변의 치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하며‚ 눈금이 없는 것은 간단히 직각을 잡을 때 이용한다. 곡자는 장수와 단수를 통해 정방형 목재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어 원목을 제재할 때 유용하기 때문에‚ 먹통과 함께 대목이 가장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에 속한다. 곡자 겉눈에는 서까래‚ 사잇기둥‚ 장선(長線) 등을 나누기 좋게 1/4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속눈에는 겉눈 길이를 정방형으로 한 대각선 길이를 10등분하여 매겨 놓았다. 그러므로 겉눈과 속눈의 치수비는 1: 2의 관계가 된다. 이 겉눈과 속눈을 이용하면 정방형의 한 변 길이로써 대각선 길이를 알 수 있게 된다. 대목들은 목재를 구하러 다닐 때 나무크기를 알기 위하여 이 곡자를 몸에 가지고 간다. 구(矩)는 `가늠자`라고도 하며‚ 곡자보다 작게 만들어 간단히 사용한다. 집을 세울 때 기둥과 보‚ 보 위에 올려지는 작은 기둥과 도리‚ 기둥 사이에 끼우는 문틀 등과 같은 맞춤과 이음에 가장 기본이 되는 직각을 재는 데 쓴다. 그 뿐만 아니라 소목들도 가구를 만들 때 많이 사용한다. 쓰임새가 많은 가늠자는 정교하게 직각을 만들어야 하므로‚ 2개의 부재가 90도로 만나는 곳은 촉과 같이 장부로 만들고‚ 나무목을 끼워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뒤틀리거나 흔들거리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유물은 나무로 만든 곡자로‚ 직각을 보는 데 사용하는 목공 연장이다. 가로대에 약 3Cm간격으로 5칸의 눈금을 새겼고‚ 세로대에도 약 3Cm 간격으로 4칸의 눈금을 새겼다. <참고문헌> 생활용구(짚.풀문화연구회‚ 1997겨울호)‚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1992)‚ 박물관도록(청주대학교 박물관‚ 2000)‚ 건축장인의 땀과(丁字尺.丁尺)‚ 연귀자(緣歸尺.燕口尺.角尺)‚ 장척(長尺)‚ 동척(童尺.短尺)‚ 줄자(繩尺.間繩)‚ 흘럭자(혹은 헐럭자)‚ 그래자(혹은 그랭이칼)‚ 영조척(營造尺) 꿈(국립민속박물관‚ 1999) <사진자료> 생활용구(짚.풀문화연구회‚ 1997겨울호)‚ 박물관 도록(청주대학교 박물관‚ 2000)‚ 건축장인의 땀과 꿈(국립민속박물관‚ 1999)‚ 한국의 상거래(국립민속박물관‚ 1994) <유사.관련용어> 곱자‚ 곱은 자‚ 곡자(曲尺)‚ 구(矩)‚ 가늠자‚ 장수(長水)‚ 단수(短水)‚ 자‚ 정자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