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철제등자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철제등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말을 탈 때 사용하는 발걸이. 등자는 말 위에 올라타거나 말을 타고 달릴 때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마장구(馬裝具)로서 안장에 달아서 말의 양쪽 옆구리로 늘어뜨리게 되어 있다. 마구(馬具)는 말을 부리는 데 필요한 장구(裝具) 일체를 말하는데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제어구·안정구·장식구로 나뉜다. 말을 다루어 부리기 위한 제어구에는 재갈‚ 굴레‚ 고삐가 있고‚ 사람이 올라타기 위한 장구인 안정구에는 안장(鞍裝)‚ 등자 등이 있다. 치장을 위한 장식구에는 방울‚ 종‚ 행엽(杏葉)‚ 운주(雲?) 등이 있다. 이 밖에 전쟁 때 필요한 마주(馬胄)와 마갑(馬甲)도 있다. 이러한 마구들은 대개 삼계(三繫)라고 불리는 끈으로 말에 매단다. 등자는 중무장 기병의 무구(武具)와 함께 전래되었는데 나무로 심을 박고 밖을 쇠로 둘러 싼 목심(木心)외피등자에서 철제등자로 변화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철제등자는 무거운 중장기병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었으므로 기마전의 양상을 크게 바꿀 수 있었다. 중국의 경우 기원전후에 중장기병과 함께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에는 4·5세기에 보편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주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철제등자는 무쇠로 만든 윤등인데 당초문과 어골문계 문양‚ 발을 대는 곳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화문(花紋)을 새기는 등 다양한 문양이 발견된다. 등자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쇠 테두리에 길다랗게 늘어뜨린 드리움대를 접합한 형태이다. 발을 거는 부분은 둥글게 고리로 만들어진 윤등과 발끝을 덮도록 만들어진 호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신분 차별이 엄격해지면서 마구에도 변화가 생겼다. 은으로 도금을 하거나 상감을 한다든가‚ 보석으로 장식한 등자가 나타나기도 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발바닥에 닿는 부분이 평평한 등자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마정사(남도영‚ 마사박물관‚ 1996)‚ 마사박물관유물도록(한국마사회‚ 1990) 한국의 마구(이난영·김두철‚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9) 고분유물(김기웅‚ 대원사‚ 1992) <사진자료> 한국의 마구(이난영·김두철‚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1999) 고분유물(김기웅‚ 대원사‚ 1992) <유사관련용어> 윤등‚ 호등‚ 발걸이‚ 마구‚ 기병‚ 기마전‚ 안정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