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씨아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씨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목화의 씨를 빼는 기구. 수확한 목화송이에서 씨를 제거하기 위해 씨아에 목화송이를 넣으면 씨는 뒤로 떨어지고 목화솜은 앞으로 빠지게 고안되어 있다. 고려 말 문익점(文益漸 : 1329∼1398)이 원(元)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목화씨를 전래한 후‚ 목화씨의 제거 방법과 실 잣는 법을 모르던 중 어떤 승려로부터 씨아와 물레 만드는 법을 배웠다고 전한다. 씨아의 형태는 대개 장방형의 나무토막을 몸체로 삼아 두 개의 기둥을 박고‚ 그 아래쪽을 작은 판때기로 가로질러 가랫장 비슷하게 고정시켰다. 양 기둥에는 길게 구멍을 뚫어 두 개의 가락을 받침대와 함께 끼워 쐐기를 박아 고정시켰다. 가락은 참나무와 같은 단단한 나무로 만들며‚ 가락의 한쪽을 톱니바퀴처럼 서로 맞물려 돌아가도록 귀를 내고 몸체는 원형이다. 장가락은 씨아손을 끼워 돌릴 수 있도록 오른쪽 기둥 밖으로 길게 노출되어 있다. 흔히 단가락을 암가락(암씨앗기둥)이라 하며‚ 장가락을 수가락(수씨앗기둥)이라 한다. 몸체 나무 토막에 판때기를 끼웠는데 이것이 앉을깨이다. 여기에 사람이 걸터앉아 오른손으로 씨아손(꼭지머리)을 잡고 돌리면서 왼손으로는 목화를 가락의 틈새로 메기면‚ 씨는 빠져서 앞으로 떨어지고 솜은 뒤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행위를 `씨아질`이라 한다. 씨아가 잘 돌지 않고 굉음을 내는 경우 납칠을 하면 잘 돌아간다. 형태는 혼자 돌릴 수 있는 것‚ 둘이서 돌리게 된 것 등이 있으며 보통 하루에 한 사람이 목화씨 두세말을 뺀다. 이 유무은 바탕 가운데에 깔개를 끼웠던 홈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 5(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농기구(박대순‚ 대원사‚ 199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