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당결(唐訣)

추천0 조회수 6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당결(唐訣)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점을 칠 때 사용하는 책. 사람의 운명을 개인의 생년월일시로 판단하는 점술서(占術書)이다. 당사주책(唐四柱冊)이라고도 한다. 점복의 역사는 원시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점복은 농경을 통한 정착생활이 이루어지면서 농사의 풍흉이나 전쟁이 일어났을 때 그 승패를 미리 알아보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위지 동이전을 보면 전쟁이 시작될 경우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소를 잡아 발굽으로 점을 친다고 되어 있다. 이때 발굽이 갈라지면 나쁘고 발굽이 붙으면 좋다고 한다. 삼국시대에는 별자리를 토대로 국가의 중요한 일을 판단하는 일관(日官)이라는 관직까지 있었는데‚ 이것은 점복행위가 인간이나 국가의 흥망성쇠를 판단하는 기준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점복의 형태로는 자연현상을 토대로 점을 치는 자연관상점·꿈을 꾼 내용으로 점을 치는 몽점(?占)·강신을 받아 점을 치는 신비점·윷놀이 등의 승패결과로 점을 치는 인위점·거북이나 점통의 내용을 토대로 점을 치는 작괘점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당사주로 풀이하는 점법은 중국 당나라 때 이허중(李虛中)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앞에 천(?)을 넣어 귀(貴)·액(厄)·권(權)·파(破)·간(?)·문(文)·복(福)·역(驛)·고(孤)·인 (刃)·예(藝)·수(壽)의 12성을 사람의 사주에 맞춰 길흉화복을 판단하는 것이다. 당나라 때 만들어졌다고 하여 당사주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 중국에서 전래한 사주점이라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당화적(唐畵籍)이라고도 한다. 당사주는 사람이 태어난 해‚ 월‚ 일‚ 시를 의미하는 사주(四柱)를 토대로 천상에 있는 12 별의 운행에 맞춰 한평생의 길흉을 점치는 방법이다. 주역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당사주책이 유행하였다. 이 책은 간지(干支)에 근거한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운세에 따른 길흉을 판단하는 일반적인 사주법과는 다르다. 오직 12성(星)의 운행방식을 토대로 운세를 결정하는 특징이 있다. 일생을 초년·중년·말년·평생으로 나누고 인명(人命)·심성(心?)·12살(煞)·부모·형제·부부·자녀·직업 등 생활과 직·간접적으로 관계있는 사항이 망라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당사주책은 이허중의 원문 위에 그림을 넣어 알기 쉽게 만들어진 책이 많이 활용되었는데 사주에 맞추어 그 해당설명을 보도록 되어 있다. 점술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우리 민족의 심성과 부합되어 활발하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신들린 사주풀이(류상채‚ 녹진‚ 1993) 조선의 점복과 예언(村山智順 저/김희경 역‚ 동문선‚ 1990) 한국의 점복(김태곤 외‚ 민속원‚ 1995) 생활문화와 옛문서(667·669쪽) 생활문화와 옛문서(국립민속박물관‚ 1991‚ 8·80·117쪽) <유사관련용어> 점복‚ 점‚ 점책‚ 점술서‚ 당사주책‚ 당화적‚ 사주‚ 역법‚ 주역‚ 이허중 국립민속박물관‚ 1991) 점복의 역사(김종대‚ 한국민속사입문‚ 지식산업사‚ 1996) 한국민속대관3-점복·주술(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3) 무점의 실태(상기숙‚ 한국민속학 16‚ 민속학회‚ 1983)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217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