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절구

추천0 조회수 9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절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곡식을 빻거나 떡을 치는 속이 우묵한 통. 통나무나 돌의 속을 파낸 구멍에 곡식을 넣고 절구공이로 찧는다. 절구는 통나무나 돌 또는 쇠를 부어 만들며‚ 그 재료에 따라 나무절구‚ 돌절구‚ 쇠절구 등으로 구별하여 부르는데 어느 것이나 윗부분에 우묵한 구멍이 있다. 나무절구의 바닥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구멍 바닥에 우툴두툴한 쇠판을 깔기도 한다. 나무절구는 위아래의 굵기가 같은 것이 대부분이나 남부지방은 허리를 잘록하게 좁힌 것을 많이 쓴다. 특히‚ 남부지방은 한 집에서도 크기가 다른 나무공이를 여러 개 쓰는데‚ 공이의 허리가 걸릴 만큼 파낸 공이대를 부엌 옆벽에 붙이고 여러 개의 공이를 걸어둔다. 절구가 크고 일감이 많을 때에는 두 사람이 마주서서 절구질을 한다. 한 사람이 할 때에는 다른 사람이 나무주걱(꺼끔배) 같은 것으로 곡물을 뒤집어주기도 하는데‚ 이를 `께낌질`이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 도구통(전남 구례‚ 보성)‚ 도구‚ 절기방아라 부른다. 경남 지방에서는 정월의 첫 소날(上丑日)에 절구질을 하면 집안의 소가 골이 아파서 죽거나 병이 생긴다고 하여 절구질을 삼간다. 또 중부 이남에서는 보름날 새벽에 절구공이를 가지고 집마당이나 밭에 가서 "디지기방아 찧자" 하면서 찧고 다닌다. 이렇게 하면 굼벵이나 두더지‚ 독충들이 없어진다고 생각한다. 전남 지방에서는 보름날 아침 절구공이로 마당의 네 귀퉁이를 찧고 나서 땅이 얼마나 들어갔는가를 살핀다. 이때 동쪽은 봄‚ 남쪽은 여름‚ 서쪽은 가을‚ 북쪽은 겨울로 여기고 땅이 많이 팬 쪽의 땅은 그 해에 물이 흔하고 그렇지 않은 곳에는 가뭄이 든다고 점을 친다. 또 이곳에서는 절구에 여신이 깃들어 있다고 믿어서 보름날 아침에 절구 주위에 열두달을 상징하는 열두 가지 음식에 콩·보리·조·팥·쌀 등의 곡식을 섞어놓고 그 해의 풍흉년을 점친다. 같은 날 오후 이들을 살펴보는데‚ 모양이 변하지 않은 그릇에 해당하는 날에는 가뭄이 들고‚ 틈이 벌어진 그릇의 달에는 물이 흔하리라고 한다. 그러나 벌어진 틈이 작으면 비가 내려도 흡족하지 않을 것으로 여긴다. 이를 "도구통 각시 영금준다"고 말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업박물관‚ 1997) <사진자료>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업박물관‚ 1997) 농기구(박대순‚ 대원사‚ 1992) <유사관련용어> 도구통‚ 도구‚ 절기방아‚ 졀고‚ 절고‚ 상축일‚ 절구통‚ 꺼끔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