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남바위

추천0 조회수 3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남바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남녀노소 공용으로 일명 `풍뎅이`라고도 하며 난이(暖耳)·이엄(耳掩)이라고도 한다. 옛날 `남(南)바위`라는 사람이 생각해내서 생긴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겉의 아래 가장자리에 털가죽을 둘러 붙인 방한모로 이마·귀·목덜미를 덮게 되어 있다. 남바위는 원래 노인이 갓 밑에 귀를 가리는 방한모였으며‚ 조선초기부터 있던 이엄(耳掩)에서 나왔는데‚ 처음에는 상류층에서 일상복에 사용하다가 후기에는 서민층이나 예복‚ 구군복의 벙거지 밑에도 사용하게 되었다.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가 뚫려 있고 아래는 3단계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4∼7cm 넓이의 털을 대었고 모정(帽頂)의 뒤 중앙은 4.5cm 가량이 트여 있다. 모정의 앞 뒤에는 술과 매듭‚ 산호줄과 비취로 된 보패류가 장식되었고 양옆에는 앞뒤를 연결하는 끈이 있다. 양옆에 볼과 턱을 가리기 위한 볼끼가 부착된 것도 있어 필요에 따라 붙였다 떼었다 할 수도 있었는데 주로 여자용에 있었다. 겉감은 대부분 두꺼운 비단(緞)이 사용되고 안감은 융이 사용되었으나 겉감으로 면‚ 안감으로 모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겉감은 주로 검은색이‚ 안감은 흑색·녹색·적색이 쓰였으나‚ 겉감에 남색·자색·밤색·옅은 보라색·옅은 녹색이 쓰이기도 하였고‚ 안감에 황색이 쓰이기도 하였다. 가장자리의 털은 흑색·짙은 밤색·현색(?色)이 사용되었고‚ 술은 분홍이나 진분홍색이 많았다. 또한 여자용에는 길상문·학문·나비문·봉황문·국화문 등을 금박하여 다양하고 색스럽게 장식하였다. 계급에 따라 재료가 달라졌는데 당상관(堂上官)은 비단(緋緞)과 담비털[貂皮]를 쓰고‚ 그 밖의 3품 이하 9품까지 초와 쥐가죽을 쓰게 규제하였다. 민간에서는 수달피 가죽을 사용하다가 값이 비싸므로 족제비 가죽을 사용하였다. 또 호사하는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이 봄철이나 가을에도 착용하는 남바위도 있다. 주로 겨울철에 갓 밑에 받쳐 쓰고‚ 궁중에 나아갈 때 금관이나 사모에도 받쳐서 쓰게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 관모(영남대학교 신라가야 문화연구소‚ 1972) 한국민속대사전(민족문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문연)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5) <사진자료> 남바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문연) 5권‚ 390쪽) (조선시대의 관모(온양민속박물관)‚ 26쪽) (복식류 명품도록(고려대학교 박물관)‚ 150∼151쪽) <유사·관련 용어> 풍뎅이‚ 난이‚ 이엄‚ 풍차‚ 조바위‚ 휘항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