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빗치개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빗치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빗살틈에 낀 때를 빼거나 가리마를 타는데 쓰는 물건. 빗치개는 머리를 정돈하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밀기름을 바르는 도구로도 쓰였고 얼굴을 보는 빗치개의 역할도 하였으며 빗의 때를 빼는 기구였다. 또한 귀이개 등과 같이 실용을 겸한 뒤꽂이로도 사용하였다. 빗치개가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통일신라시대의 골각제 빗치개가 안압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아 역사가 꽤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빗치개는 여인에게 있어서 머리를 빗는 도구 중 빗 이외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서 큰 것·작은 것 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었다. 주로 쇠붙이나 뿔·뼈 등으로 만들었으며‚ 한쪽 끝은 둥글고 얇아서 빗의 때를 빼거나 밀기름을 바를 때 사용하고 다른쪽 끝은 가늘고 뾰족하여 머리의 가리마를 타는데 쓰였다. 빗치개는 대개 빗이나 빗접‚ 면경(面鏡)‚ 쪽집게‚ 살적밀이‚ 분통 등과 함께 경대에 두고 사용하기도 하였고‚ 쪽진 머리에 꽂아 머리를 장식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만들어 수식물의 하나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머리를 장식하는 뒤꽂이로 사용되는 빗치개는 비취·마노 등으로 만들거나 은에 칠보를 입히고 산호 등의 보석을 상감하여 화려하게 꾸민 것이 많다. 이 빗치개는 도끼모양 머리를 하고 있으며‚ 앞면에는 수(壽) 뒷면에는 복(福)자를 새겼다. <참고문헌> 한국의 복식(백영자‚ 경춘사‚ 1993) 한국복식사(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한국복식사(류송옥‚ 수학사‚ 1998)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사진자료> 골각제 빗치개·빗치개(한국복식문화사전‚ 김영숙‚ 미술문화‚ 1998‚ 222쪽) 귀이개·빗치개(한국의 복식‚ 백영자‚ 경춘사‚ 1993‚ 308쪽) 빗치개(한국복식사‚ 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140쪽) 뒤꽂이(한국복식사‚ 류송옥‚ 수학사‚ 1998‚ 302쪽) 뒤꽂이(한국전통 생활의 미‚ 한국 IBM‚ 1992‚ 60쪽) <유사·관련 용어> 귀이개‚ 뒤꽂이‚ 쪽머리‚ 수식(首飾)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