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재종천혈판(栽種穿穴板)

추천0 조회수 5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재종천혈판(栽種穿穴板)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재종천혈판(栽種穿穴板)은 인삼씨를 파종할 때 쓰는 농기구이다. 판 아래에는 인삼씨를 심기 위해 구멍을 내는 촉이 달렸고 판 위쪽에는 손잡이가 달려있다. `종자판(種子板)`‚ `파종판(播種板)`‚ `인삼씨파종기(播種機)`라고도 한다. 고르게 다듬어진 두둑에 종자판을 가볍게 누르면‚ 종자판에 있는 촉이 구멍을 내어 씨를 심을 자리가 표시된다. 인삼은 재배장소의 선택이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과 인삼재배에 알맞은 최적의 온도 및 토양‚ 적당한 강우량을 갖고 있어 질이 좋고 약효가 뛰어난 인삼을 재배할 수 있었다. 우리 인삼이 문헌에 등장한 것은 1500여 년 전부터이다. 중국 양나라의 도홍경(陶弘景)이 지은 의학서적인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註)』와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백제와 고려(고구려)의 인삼에 관한 기록이 있으며‚ 『양서(梁書)』에는 무제시대에 고구려 및 백제가 자주 인삼을 조공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삼국사기』를 통해서도 우리 인삼의 효능으로 인해 중국 등 외국으로 보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우리 인삼이 일찍부터 이웃나라에까지 명성이 알려지고 수요가 확대되면서 야생인 천연삼의 채취만으로 수요를 충족할 수 없게 되자‚ 인삼 재배를 시작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말엽부터 우리의 독창적인 인삼 재배기술을 발달시켰는데‚ 문헌에 등장하는 인삼재배는 조선 숙종(1675-1720)때부터이다. 초기의 인삼재배는 산삼의 종자나 어린 묘를 산 속에 뿌리거나 심어 기르는 형태였는데‚ 점차 평탄지로 옮겨 오늘날의 밭에서 기르는 해가림 재배법으로 발달하였다. 인삼재배는 산삼이 자라는 자연환경과 비슷한 곳을 골라 깊은 산의 활엽수를 1-2년간 인삼이 자라기에 알맞도록 땅을 바꾸어준다. 그리고 둑의 흙을 고른 다음 종자판으로 찍어 그 구멍 하나 하나에 인삼씨 하나씩을 심고 그 위에 흙을 덮은 후 마른 풀들을 뿌려 놓는다. 특히 질 좋은 인삼을 키우려면 좋은 인삼에서만 종자를 채취하고‚ 그 중에서도 우수한 종자만을 엄선해 묘삼(苗蔘)을 기른다. 이렇게 기른 묘삼은 4-6년 후 우수한 인삼이 된다. 인삼을 캐는 시기는 보통 백로(白露) 무렵이며 괭이로 캔다. 이와 같은 생인삼을 수삼(水蔘)이라고 하며‚ 수삼의 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린 것을 백삼(白蔘)이라고 하고‚ 수삼을 쪄서 햇볕에 말린 것을 홍삼(紅蔘)이라고 한다. 이 유물은 직사각형의 판 위에 5열로 원추형의 촉을 붙여서 구멍을 낼 수 있게 만들었다. 상부에 손잡이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문화이미지(국립민속박물관‚ 2001)‚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한국민속종합‚ 한국민속종합보고서-충청북도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인삼(人蔘)-(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유사.관련용어> 종자판(種子板)‚ 파종판(播種板)‚ 인삼씨파종기(播種機)‚ 인삼(Korean Gin-seng)‚ 고려인삼(高麗人蔘)‚ 조선인삼(朝鮮人蔘)‚ 죽절인삼‚ 삼칠인삼‚ 해가림 재배법‚ 수삼(水蔘)‚ 백삼(白蔘)‚ 홍삼(紅蔘) 보고서-충청남도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5)‚ 한국민속종합보고서-충청북도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6)‚ 우리 인삼의 발자취(이용엽 편저‚ 19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인삼(人蔘)-(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사진자료> 한국의 문화이미지(국립민속박물관‚ 2001)‚ 한국의 농업유물(농협중앙회 농협박물관‚ 1997)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