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망건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망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머리카락이 흩어지지 않도록 머리에 두르는 건(巾). 말총이나 인모(人毛)로 바닥을 짜서 만들고‚ 상투 있는 사람이 사용한다. 관례를 하여 상투를 한 후에는 누구나 망건을 쓰게 되므로 어른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망건을 쓴 위에 갓 등의 정식 관을 쓴다. 망건은 당(망건의 윗부분)·편자(아랫부분)·앞·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지며 앞은 높고 옆쪽은 조금 낮다. 당은 망건의 말총을 촘촘히 세워 고를 맺어 두른 것으로 고에 구멍을 내어 윗당줄을 꿰도록 만들었다. 편자는 말총으로 좁고 두껍게 짜는데‚ 망건을 졸라매는데 쓰는 띠이다. 여기에 부수적으로 관자(貫子; 권자 圈子)‚ 풍잠(風簪)‚ 동곳이 포함되었다. 관자는 망건을 졸라매는 끈인 당줄을 걸어 넘기는 것으로 망건의 양 옆 관자노리에 달려 있다. 품위가 높을수록 겸손한 뜻에서 민옥(??)관자를 달고 품급에 따라 도금(鍍金) 등을 달았다. 풍잠은 앞 이마 닿는 부분에 다는 장식품의 일종으로 갓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상류층에서는 대모‚ 마노‚ 호박 등을 사용하였고‚ 일반 서민은 골(骨)‚ 각(角)을 사용하였다. 동곳은 상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조선시대 망건은 기혼남성들에게 애용되다가 고종 32년(1895) 단발령이 내려진 뒤에 사라져 버렸다. 잘못으로 매맞고 옷을 찢겨도 호소할 길이 없어 남아 있는 망건 편자만 줍는다`고 이른다. 망건을 짜는 일은 1985년 11월‚ 중요무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으며 제주도에는 망건을 만들 때 부르는 `망건노래`가 전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관모(영남대학교 신라가야문화연구소‚ 1972)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사연구 (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5) 조선시대 의복‚ 관모함에 관한 연구(김학태‚ 청주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9) <사진자료> 망건의 구성도 (한국수공예미술‚ 김종태‚ 예경산업사‚ 1990‚ 444쪽) <기타참고> 무형문화재 제66호 이수녀 <유사관련용어> 당‚ 편자‚ 풍잠‚ 권자(圈子)‚ 관자(貫子)‚ 동곳‚ 망건장‚ 망건노래‚ 마미망건 등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