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돈궤

추천0 조회수 5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돈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엽전을 보관하는 장방형의 상자. 궤는 와궤(臥櫃)라고도 하며 윗닫이와 반닫이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흔히 윗닫이를 돈궤라 부르기도 하는데 실질적으로 돈궤는 크기가 훨씬 작으며‚ 윗면의 절개된 중앙 부위에 엽전이 들어갈 수 있도록 장방형의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삼국유사》에 신라 탈해왕(脫解?:57∼80)이 길이 20자‚ 너비 13자의 궤에서 나왔고‚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金閼智)도 금궤에서 나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궤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돈궤가 일반 윗닫이와 다른 점은 천판에 달린 문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일반 궤는 문이 붙박이 뒷판과 경첩으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돈궤의 문은 뒷판과는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돈궤는 천판의 뒤쪽이 붙박이로 되었고 앞판인 문은 뒷판과는 분리되어 들어 열게 되어 있다. 문판 안쪽 양측에 뻗침대를 박아 자물통으로 문을 걸었을 때 이 뻗침대가 천판 뒤쪽에 걸려 문이 열려지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궤의 양식은 뒤주와 곳감과 같은 마른 과일을 보관하는 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돈궤와 같은 윗닫이는 다목적 가구로서 수납된 물품의 종류에 따라 사랑방‚ 다락‚ 광 등에 놓고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빛깔있는 책들-전통목가구(김삼대자. 대원사. 1994) 이조가구의 미(배만실. 새글사. 1975) 한국의 궤(정대영. 동인방. 1993) 한국의 목공예 下(이종석. 열화당. 1977) <유사·관련 용어> 궤‚ 와궤‚ 엽전궤‚ 윗닫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