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포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시대 선비들이 평상시 입던 겉옷. 형태는 요즘 두루마기와 같이 곧은 깃에 무를 달았으나‚ 소매가 넓고‚ 뒷자락을 더 댄 것이 특징이다. 뒷길은 허리부터 아래까지 뒷중심을 트고‚ 그 위에 뒷자락(전삼)을 한 겹 더 달아 말을 탈 때나 앉을 때 품위를 유지할 수 있게 했다. 도포를 착용할 때는 세조대(細條帶)를 띠었는데 당상관은 훈색 또는 자색‚ 당하관은 청색 또는 녹색‚ 서민은 흑색‚ 상제(喪制)는 백색 세조대를 띠었다. 도포에 따르는 관모는 일반 외출시에는 흑립(黑笠)을 착용하였으나 사방관(四方冠)‚ 동파관(東坡冠)‚ 유건(儒巾)도 착용하였다. 도포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 중기부터 입기 시작하였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五?衍文長箋散考)}에 "도포를 그냥 포라고 하지 않고 포자(袍字) 위에 도자(道字)를 붙였으니 도석(道釋)에서 나온 것임을 알 수 있다. 도포를 칭하여 도복(道服)이라고도 하지 않는가."라 하여 근원을 종교적인 데 두고 있다. 또한 이규경은 "우리 나라 조관사서(朝官士庶)는 웃옷으로 도포를 입는데‚ 청색과 백색의 두 가지가 있어 좋은 일에는 청색을 입고 평상시에는 백색을 입었다. 서민층에서는 입지 못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정약용의 {목민심서}에는 "망예‚ 하천 등도 도포를 입고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 착용신분을 다르게 보고 있다. 조선 후기에 오면서 천민은 입지 못하였고 왕과 사대부의 편복으로 착용되었다. 고종의 갑신의제개혁(1884년) 때 다른 소매 넓은 옷과 함께 폐지되었지만‚ 1889년 예식과(禮式果)의 {예복}에서 관직없는 사람의 예복으로 도포가 채용된 후 넓은 소매옷 중 도포는 계속 착용되었다. 현재도 제사지낼 때 제복으로 입기도 한다. 이 유물은 모시로 만든 홑 도포로‚ 소매는 넓은 두리소매이고 품도 넓다. 앞깃은 직선형이고 뒷자락은 두겹으로 진동선 밑에서부터 뒷자락(전삼)을 덧대었다. <참고문헌>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우리나라 포의 형태 변천(김미자‚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오주연문장전산고(이규경‚ 동국문화사‚ 1959) <사진자료> 인물화로 보는 조선시대 우리옷(권오창‚ 현암사‚ 1998‚ 84쪽) <기타참고> "도포의 도해"(한국복식도감 上권‚ 김영숙·손경자‚ 예경‚ 1984‚ 100-105쪽) <유사관련용어> 전삼(展衫)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