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강령가면-용산삼계집탈

추천0 조회수 127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강령가면-용산삼계집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용산삼계집탈은 해서지방 탈춤의 하나인 강령(康翎)탈춤에 등장하는 탈의 하나이다. 용삼삼계집탈은 용산삼계탈 또는 용산삼개집탈이라고도 한다. 탈은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모양을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얼굴에 써서 분장(扮裝)을 하는데 한자로는 면(面)‚ 면구(面具)‚ 가면(假面)‚ 대면(代面)‚ 가두(假頭)‚ 가수(假首) 등이라 하였다. 우리말로는 광대‚ 초라니‚ 탈‚ 탈박‚ 탈바가지 등이라 하였다. 강령탈춤에 사용되는 탈은 종이탈로서 봉산탈 제작과 마찬가지로 탈 판인 본을 만들어두고‚ 그 위에 한지를 여러 겹 바르고 말린 뒤에 여러 가지 물감으로 채색하여 만든다. 이 용산삼계집탈은 종이탈로 얼굴바탕색은 흰색이다. 얼굴에 연지와 곤지를 찍었다. 머리는 틀어서 얹었다. 입술은 붉은색이고‚ 입은 아주 작다. 용산삼계집탈을 쓰는 용산삼계집은 분홍저고리에 옥색치마를 입는다. 오른손에는 흰 수건을 쥐고 제7과장 미얄영감·할미춤에 등장한다. 용산삼계집은 술집의 주모(酒母)로 고향을 떠나 방랑하는 영감을 만나 새생활을 꿈꾸며 즐기려고 한다. 그런데 영감을 찾아나선 미얄할미에 의해 영감과 미얄할미가 상봉한다. 그러나 용산삼계집의 할미에 대한 불손한 태도가 원인이 되어 가정불화가 생기고 마침내 할미를 쫓아낸다. 이것을 시원하게 여기면서 춤을 추는데 동네어른인 남강노인이 등장하여 짚신과 유서를 전한다. 이렇게 할미의 자살이 밝혀진다. 그리고 남강노인의 권유로 영혼천도(靈魂薦度)를 위한 진오귀굿을 한다. 여기에서는 남편의 외도‚ 영감을 찾기 위한 할미의 방황‚ 처첩간의 갈등을 통해 봉건적 가족관계에 나타난 대립적인 모든 요소를 보여준다. 강령탈춤은 황해도 일대에서 놀아오던 탈놀이 가운데 하나이다. 내륙의 평야지대를 대표하는 봉산탈춤이 있고 해주‚ 옹진‚ 강령 등 해안지대를 대표하는 강령탈춤이 황해도의 대표적인 탈춤이다. 강령탈춤은 봉산탈춤과 달리 등장인물 가운데 마부‚ 말뚝이가 각 2명씩이고 사자도 2마리가 등장한다. 그리고 대사의 내용에서도 말뚝이와 양반의 재담은 매우 독창적이며 우리말의 묘미를 구사하고 있고 강령의 지방색도 보이고 있다. 강령탈춤의 구성은 길놀이·고사를 지낸 다음‚ 제1과장 : 사자(?子)춤‚ 제2과장 : 말뚝이춤‚ 제3과장 : 목중(墨僧)춤‚ 제4과장 : 상좌(上佐)춤‚ 제5과장 : 양반(兩?)·말뚝이춤‚ 제6과장 : 노승(老僧)·취발이춤‚ 제7과장 : 미얄영감·할미춤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해주가면극의 연구(최상수‚ 정동출판사‚ 1983)‚ 한국의 가면극(이두현‚ 일지사‚ 1979)‚ 한국의 탈(국립민속박물관‚ 1982 노승(老僧)·취발이춤‚ 미얄영감·할미춤‚ 강령탈‚ 봉산탈‚ 마부‚ 말뚝이‚ 사 자‚ 양반‚ 미얄할미‚ 용산삼계집‚ 용산삼개집탈‚ 용산삼계탈‚ 할미‚ 영감‚ 남강노인)‚ 한국민족대백과사전-탈‚ 탈놀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사진자료> 한국의 탈(국립민속박물관‚ 1982) <유사·관련 용어> 탈‚ 면‚ 면구‚ 가면‚ 대면‚ 가두‚ 가수‚ 광대‚ 초라니‚ 탈박‚ 탈바가지‚ 강령탈춤‚ 종이탈‚ 길놀이‚ 고사‚ 사자(?子)춤‚ 말뚝이춤‚ 목중(墨僧)춤‚ 상좌(上佐)춤‚ 양반(兩?)·말뚝이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