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고(小鼓)

추천0 조회수 10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고(小鼓)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사당패·선소리패·농악대 등이 치는 조그만 북. 달리 매구북·버꾸라고도 한다. 보통 지름이 한자 가량 되게 만든 통에 양면에 개가죽을 대고 끝에 구멍을 뚫어 개가죽 끈이나 노끈으로 조여맨다. 여기에 길이가 한뼘‚ 지름이 반치 가량 되는 나무자루[손잡이]를 단다. 소고를 치는 채는 길이 한 뼘에 손가락 굵기 정도의 나무로 만든다. 이 손잡이를 왼손으로 쥐고‚ 오른손에는 채를 들고 대개 매 장단 첫박에 한 번씩 친다. 이때 농악에 맞추어 춤을 추는데 그 동작이 황홀할 정도로 아름답다. 흔히 농악대에서 이 소고를 들고 춤을 추면서 상모돌리기를 한다. 사당패·선소리패가 사용하는 소고는 대체로 그 크기가 큰 편이며‚ 농악대의 소고는 고장에 따라 크기가 다소 차이가 난다. 한편 강릉·삼척 등지의 농악에서는 소고와 버꾸가 구별되어 쓰인다. 곧 소고는 버꾸보다 다소 큰 크기이며‚ 소고잽이는 고깔을 쓰고 버꾸잽이는 채상모가 달린 벙거지를 쓴다. 그러나 대개의 고장에서는 소고와 벅구의 구별이 없이 서로 혼칭되어 쓰이고 있다. 사당패에서는 남자들이 소고를 치며 소리를 주고 받으며‚ 선소리패에서는 모갑이[우두머리]가 장구를 치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소고를 들고 친다. 사당패·선소리패·두레패들은 `판소고`라 하여 소고를 치며 판놀음을 벌이기도 한다. 소고는 악기로서의 사명보다는 춤을 출 때 그 절도를 맞추는 구실이 더 크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재관리국‚ 1969) 민요와 향토악기(장사훈‚ 상문당‚ 1948)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예술원‚ 1985)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사진자료> 소고(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이보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44쪽) <기타참고> 소고춤·덤부리산장단(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이보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44쪽) <유사·관련용어> 소고잽이‚ 벅구‚ 벅구잽이‚ 버꾸‚ 버꾸잽이‚ 덤부리산장단‚ 소고춤‚ 소고채‚ 수고(手鼓)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