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접시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제기는 용도에 따라 제물이나 제수(祭需)를 담는 것‚ 술과 물을 다루는 데 쓰이는 것‚ 그리고 그밖의 것으로 나뉜다. 제물이나 제수를 담는 제기에는 밥을 담는 반기(飯器)‚ 국을 담는 갱기(羹器)‚ 탕을 담는 탕기(湯器)‚ 국수를 담는 면기(麵器)‚ 떡을 담는 병기(餠器)‚ 적(炙)을 담는 적기(炙器)‚ 채소 반찬을 담는 소채기(蔬菜器)‚ 간장류를 담는 장기(醬器)‚ 생선이나 육류를 담는 어육기(魚肉器)‚ 과일을 담는 과기(果器)‚ 포를 담는 포기(脯器)‚ 젓갈을 담는 해기(?器) 등이 있다. 술과 물을 다루는 제기로는 술병과 술주전자·술잔과 잔대‚ 물병·술상·퇴주그릇 등이 있다. 그밖에 제상과 그 위에 덮는 기름종이인 좌면지(座面紙)나 소탁(小卓)·향로·향합·향·촛대·모사기(茅砂器) 등 제례에 필요한 여러 물건들이 이에 속한다. 제기는 대부분 굽이 달려 있는데‚ 조상이나 모시는 신을 높이 받든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제기는 일반적으로 나무·사기·놋쇠 등으로 만들어진다. 가볍고 운반하기 쉬운 나무로 만든 제기는 초기에 묘제(墓祭)에서 사용되다가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집안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놋쇠제기는 부유한 계층에서 많이 사용했는데‚ 값도 비싸고 보존에 많은 인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값싸고 보관하기도 쉬운 스테인레스로 만든 제기를 많이 사용한다. 제기는 일반적으로 사당에 보관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또 제기가 못쓰게 되면 땅에 묻어야 하며 다른 그릇으로 제기를 대용하지 못한다. 이 유물은 백자제기(白磁祭器)로 높은 굽 이 달려 있다. <참고문헌> 제구에 나타난 목유공예(민속학회편‚ 교문사‚ 1989) 한국민속대사전(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민족문화사‚ 1991) 한국미술문화의 이해(김원룡‚ 도서출판 예경‚ 1994)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기타참고> 한국의 유기(광주시립민속박물관‚ 199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