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죽척(竹尺)

추천0 조회수 6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죽척(竹尺)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자는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화각(華角)으로 장식되어 있다. 길이는 52.3㎝로 옷감을 재는 데 사용한 포백척으로 보인다. 포백척은 포목의 무역과 의복을 만드는데 쓰는 자로서 침척(針尺)이라고도 한다. 포백척은 지방에 따라‚ 또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길이가 일정하지 않았다. 포백척은 견척(絹尺)‚ 목면척(木棉尺)‚ 마포척(麻布尺)‚ 저포척(苧布尺)‚ 면주척(綿紬尺)이라고 부르는데 각각 길이에 있어서 조금씩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견척은 목면척보다‚ 목면척은 마포척보다 짧다. 포백척을 {경국대전}에 규정된 미터법으로 환산해보면 그 평균 수치가 46㎝이다. 이것이 광무 6년 도량형이 개혁되면서 1척 6촌 즉 48㎝가 되었다. 이후 광무 9년 도량형법에 따라 1척 7촌 즉 52㎝정도로 길어졌다. 조선시대의 도량형 제도는 성종대에 편찬된 {경국대전} [공전] 도량형조에 규정되어 있다. 도량형조에 규정된 자의 종류로는 황종척·주척·조례기척·포백척·영조척이 있다. 이것은 자의 쓰임새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황종척은 각종 악기의 제조와 음률을 맞추는 표준자이다. 주척은 주로 측우기 등 기구를 측정하거나 신주(神主)를 만들 때 사용하며‚ 그밖에 도로의 거리수를 잴 때도 사용하였다. 주척은 원래 주나라 때 거리‚ 면적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기준자로서 삼국시대에 당나라로부터 들어와 고려‚ 조선시대까지 사용하였다. 조례기척은 종묘나 문묘 등의 각종 예기를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자로 예기척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영조척은 원래 곡척(曲尺)‚ 대척(?尺)‚ 금척(金尺) 등으로 불리었다. 가옥과 성벽‚ 봉화‚ 산릉(山陵)과 궁궐 등을 건축할 때 표준척으로 사용하였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각종의 자를 미터법으로 환산해보면 그 평균 수치가 다음과 같다. 황종척(黃鐘尺)은 34㎝‚ 주척(周尺)은 20㎝‚ 영조척(營造尺)은 30㎝‚ 조례기척(造禮器尺)은 28㎝이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경국대전‚ 도량형과 국악논총-박흥수박사화갑기념논문집(박흥수‚ 박흥수박사화갑기념논문집간행회‚ 1980)‚ 한국의 도량형(국립민속박물관‚ 신유문화사‚ 1997)‚ 조선후기 도량형 문란의 원인 연구(하원호‚ 한국사연구 59‚ 1987) <사진자료> 한국의 도량형(국립민속박물관‚ 신유문화사‚ 1997) <유사·관련용어> 황종척‚ 주척‚ 조례기척‚ 포백척‚ 영조척‚ 목척‚ 금척‚ 예기척‚ 침척‚ 곡척‚ 대척‚ 견척‚ 목면척‚ 마포척‚ 저포척‚ 면주척‚ 화각자‚ 표준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