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태항아리

추천0 조회수 8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태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이부태항(白磁耳附胎缸)은 왕실용 백자 태(胎)항아리로 몸체에 4개의 귀가 달려있다. 태(胎)항아리는 왕실이나 상류층 아기의 태를 담아 보관하던 항아리이다. 태호(胎壺)‚ 태항(胎缸) 또는 태옹(胎甕)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태는 태아의 생명력을 부여한 것이라 하여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보관하였다. 특히 왕실에서는 국운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믿어 태를 소중히 여겼다. 아기가 태어나면 길일을 택하여 태를 담은 내항아리와 내항아리가 들어가는 외항아리 그리고 출생과 태의 매장 시기를 기록한 지석(誌石‚ 또는 胎誌石)을 함께 묻은 다음 태비(胎碑)를 세웠다. 조선시대에는 태항아리가 대량으로 만들어져 사용되었다. 왕가에서는 아기가 태어나면 태를 즉시 작은 백자로 된 내호(內壺)에 넣어 산실(産室) 안에 미리 정해놓은 길한 방향에 보관하여 두었다. 내호는 태 안 항아리‚ 내항(內缸)이라고도 하며 외호에 비하여 홀쭉하게 생겼다. 그 뒤 길일을 택하여 태를 다시 보다 큰 중간 항아리인 외호(?壺)에 넣어 밀봉하였다. 외호는 태 밖 항아리‚ 태호(胎壺)‚ 태항(胎缸)‚ 외항(?缸)이라고도 부른다. 태를 처리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헌 동전 한 개를 글자가 적힌 부분(字面)이 위가 되게 조그만 내호 밑바닥 중앙에 깔고 여러 번 씻은 태를 그 위에 넣는다. 그리고 기름 종이와 남색 비단으로 항아리 입구를 덮고 빨간 끈으로 단단히 밀봉한다. 그것을 다시 외호라고 하는 더 큰 항아리에 담는다. 항아리 사이를 솜으로 채워 내호와 외호 모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습기가 스며들지 못하도록 기름종이로 싼 후 마개와 뚜껑을 닫아 막는다. 그리고 태실(胎室)이라 부르는 작은 언덕이나 봉우리의 명당 자리[태봉(胎封) 또는 아기 릉(陵)이라고도 부름]에 묻었다. 태실의 조성‚ 봉안‚ 운반‚ 일정‚ 인원동원‚ 소요경비‚ 경비부담자‚ 책임자 등등에 관한 상세한 내력은 『胎室義軌』를 작성하여 보관했다. 태항아리를 통해 태를 생명의 원천으로서 소중하게 여겼음을 살필 수 있다. 내호와 외호는 대개 분청사기 혹은 백자로 만들어졌는데 뚜껑과 몸체에 4개의 귀가 달렸고‚ 여기를 붉은 색 끈으로 단단히 묶어서 봉안했다. 왕실용 백자 태항아리는 15세기 후반 경부터 경기도 광주(廣州)의 번천리‚ 도마리‚ 우산리 등지의 요지(窯地)에서 주로 만들어 납품하였다. 이 유물은 일반 태항아리와 비교할 때 몸체가 길고 작다. 크기로 보아 태 안 항아리(內壺)일 가능성이 높다. 입 부분은 좁고 몸체는 어깨가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다. 낮은 대접을 엎어놓은 듯한 둥근 뚜껑의 손잡이에는 석등형(石燈形) 꼭지가 있‚ 한국민속의 세계[제2권](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사진자료> 서삼릉태실(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26) 민간의약(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새천년 새유물(국립중앙박물관‚ 2000)‚ 조선백자항아리(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5)‚ 도자기명품도록(고려대학교박물관‚ 1989) <유사관련용어> 태(胎)항아리‚ 태호(胎壺)‚ 태항(胎缸)‚ 태옹(胎甕)‚ 태(胎) 안 항아리‚ 내항아리‚ 내항(內缸)‚ 내호(內壺)‚ 태(胎) 밖 항아리‚ 외항아리‚ 외항(?缸)‚ 외호(?壺)‚ 태실(胎室)‚ 태봉(胎封)‚ 아기릉(陵) 으며 그 꼭지에는 4개의 각진 구멍이 뚫려 있다. 역시 어깨에 구멍이 뚫린 4개의 굵고 둥근 귀가 달려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태항아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26) 민간의약(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새천년 새유물(국립중앙박물관‚ 2000)‚ 조선조궁중풍속연구(김용숙‚ 일지사‚ 1987)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