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가마발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가마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가마발은 가마를 가리고 장식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가마는 사람이 메고 다니는 탈 것이다. 일명 승교(乘轎)라고도 한다. 발은 가늘고 긴 대를 줄로 엮거나 줄 따위를 여러 개 나란히 늘어뜨려 만든 물건을 가리킨다. 이 가마발은 거북의 등껍질 모양의 실끈무늬로 되어 있고 부채형 장식을 하였다. 이같은 가마발은 주로 교자에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탈것에 대한 신분제도상의 규제가 있었는데 교자는 당상관 이상이 탔다. 당하관이 교자를 타면 처벌을 받았다. 교자는 조선시대에 종1품 이상 및 기로소(耆老所)의 당상관이 타던 가마로 앞뒤로 두 사람씩 네 사람이 낮게 어깨에 메고 천천히 다녔다. 교자는 평교자‚ 교헌(轎軒)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의 가마제도는 크게 왕실용‚ 양반용‚ 서민용 및 의례용으로 나눌 수 있다. 왕실용 가마로는 여러 가지 연(輦)‚ 여(輿)‚ 교(轎)‚ 거(車) 등이 있어 상황에 따라 알맞은 것을 택하였다. 연은 왕이 타는 가마로 난가(鸞駕)‚ 난여(鸞輿)‚ 옥연(?輦)이라고도 한다. 또 공주나 옹주가 타는 덩[덕응(德應) ; 팔인교(八人轎)]이 있다. 양반용 가마로는 평교자‚ 종2품관 이상이 타는 높은 외바퀴 수레인 초헌( 軒)‚ 위에 포장 없이 의자처럼 생긴 남녀(藍輿)‚ 쌍마교‚ 혼인 때 사용하는 사인교(四人轎)‚ 가마‚ 보교(步轎)‚ 독교(獸轎) 등이 있다. 또 상중에 상주가 타는 삿갓가마[초교(草轎)]가 있다. 그리고 서민은 혼례용으로 가마‚ 보교를 이용하였다. 의례용으로는 왕실의 채연(彩輦)‚ 채여‚ 용정자(龍亭子)‚ 축로차(逐虜車)와 상여(喪輿)‚ 요여(腰輿)‚ 그리고 절에서 재를 올릴 때 쓰는 연이 있다. <참고문헌> 조선조가마특별전-제2회 기획전(롯데월드민속관‚ 1989)‚ 매듭장-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제43호(문화제관리국‚ 1968)‚ 한국민속대사전(신준호‚ 민족문화사‚ 1991) <사진자료> 조선조가마특별전-제2회 기획전(롯데월드민속관‚ 1989) <유사관련용어> 승교‚ 연‚ 여‚ 교‚ 거‚ 난가‚ 난여‚ 옥연‚ 덩‚ 덕응‚ 팔인교‚ 평교자‚ 초헌‚ 남여‚ 쌍마교‚ 사인교‚ 보교‚ 독교‚ 삿갓가마‚ 초교‚ 채연‚ 채여‚ 용정자‚ 요여‚ 견여‚ 축로차‚ 상여‚ 교자‚ 교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