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초(華燭)

추천0 조회수 8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초(華燭)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빛깔을 들인 밀초. 벌집을 끓여 틀에 넣어 굳힌 밀랍 속에 심지를 박아 불을 켜는데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 처음으로 국내 생산이 이루어진 초는 그 제조 기술이나 생산량이 극히 제한되어서 왕국의 의식이나 연회 등에만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밀랍이 귀하여 송거(松炬; 소나무 횃불)나 유등(油燈)을 쓰도록 하였는데‚ 밀랍이 귀한 까닭은 생산지가 영서의 몇 읍과 호남의 무주‚ 호서의 청주 지방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초의 종류에는 자초(刺燭)‚ 홍대초(紅?燭)‚ 포초(布燭)‚ 밀초(蠟燭)‚ 지초(脂燭)‚ 내점초(耐點燭)‚ 성납초(聖蠟燭)‚ 만리초(萬里燭)‚ 풍전초(風前燭)‚ 잡초(雜燭) 등이 있으며‚ 용초(龍燭)나 화초(畵燭)는 궁중이나 왕의 하사품으로 일부 귀족계층에서 사용된 초였다. 밀초는 황랍초(黃蠟燭)와 백랍초(白蠟燭)로 나뉜다. 황랍초는 반투명한 담황색을 띠며 봉밀을 물에 끓여 불순물을 제거한 밀납을 판 위에 놓고 굴대로 굴려 원통형으로 만든 다음 굴대를 빼고 심지를 끼우는 굴림법으로 만들어 졌다. 밀초는 대부분 이러한 굴림법으로 만들어 졌으나‚ 조선 후기에는 밀랍을 녹여 대통 속에 넣고 굳히는 주촉법(鑄燭法)도 이용되었다. 백랍초는 황밀을 고아 장지에 걸러 짜내는 정제과정을 거쳐서 만들거나‚ 사철나무나 광나무에 서식하는 백랍충(白蠟蟲)의 분비물을 가열하여 얻는 초이다. 이러한 밀초는 궁중 및 상류층에서 일상생활용이나 의식용으로 사용되었고 일반 민간에서는 지초‚ 내점초‚ 성납초‚ 풍전초‚ 잡초 등을 생활용으로 사용하였다. 화초는 밀초에 빛깔을 들인 초로 흔히 혼례식에 쓰였다. 백랍을 물들여 모란을 장식하고 심지는 종이를 붉게 물들여 만든 궁중의 의식용 초도 있으며‚ 백랍을 주홍안료로 물들여 용을 양각한 것도 있다. <참고문헌> 우리나라 전통 등기구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정승은‚ 상명여대‚ 1993) 이조 후기 목등기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이규항‚ 이화여대‚1977)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