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등잔(燈盞)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등잔(燈盞)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름을 담아 심지를 넣어 불을 켜는 그릇. 등잔은 재료에 따라 목제·토제·대리석·백자·사기·놋쇠·철제로 나뉘며‚ 여기에 한지·솜·삼실[麻絲]로 심지를 만들어 기름이 배도록 하여 불을 켠다. 형태별로는 술잔형·종지형·호형(壺形)·원통형·탕기형(湯器形) 등이 있다. 또 등잔을 얹어서 사용하는 등기(燈器)는 등경(燈?)과 등가(燈架)로 나눌 수 있다. 등잔에 사용하는 기름은 참기름·콩기름·아주까리기름·호마기름 등의 식물성과 돈지유(豚脂油)·우지유(牛脂油)·어유(魚油) 등의 동물성이 있으며‚ 제사 때에는 주로 식물성 기름을 애용하였다. 등잔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백제 무녕왕릉 등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등잔이 발굴되는 것으로 미루어 매우 오래 전부터 사용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등잔은 각 시대의 공예 기술과도 관련되는데‚ 고려 시대에는 옥석제의 등잔과 청자등잔이‚ 조선시대에는 백자등잔이 많이 만들어졌다. 우리의 전통적인 등잔은 심지를 그릇 가장자리에 대거나 중심부에 놓아 불을 켜는 방식으로 종지형 등잔을 기본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석유 수입(1876년 전후) 이후 인화성이 강한 석유를 연소 재료로 사용하면서‚ 심지꽂이가 따로 붙은 등잔이 필요했다. 그래서 석유 수입과 함께 심지꽂이가 따로 붙은 사기등잔이 대량으로 수입·보급되었고‚ 점차 뚜껑에 심지꽂이가 따로 붙은 백자나 사기로 만든 호(壺)형·원통형·탕기형 등잔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로 들어서면서 산간 오지에도 전기가 보급되며 등잔은 점차 사라졌다. 이 유물은 백자철유(白磁鐵釉)등잔으로 등잔과 간주 및 하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등잔은 종지 형태로 등심(燈心)을 꽂을 수 있는 돌기된 구멍이 있으며‚ 간주는 하반과 연결된 일체형으로 하반은 속이 빈 원통형이다. 간주 상단부에 환(環)이 둘러져 있으며‚ 등잔 하단부와 하반은 갈색이고‚ 등잔 내부와 간주 일부분은 회색을 띠고 있다. <참고문헌> 불의 민속(국립민속박물관‚ 199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 등잔(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p.459) 한양대박물관 수장 유물선(한양대 박물관‚ 1995‚ pp.449∼453) <유사/관련 용어> 등‚ 등가‚ 등경‚ 등경걸이‚ 등기‚ 등기구‚ 등대‚ 등잔‚ 등잔대‚ 등잔바탕‚ 등잔받침‚ 등촉구‚ 석유‚ 심지‚ 심지꽂이‚ 전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