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제금(바라)

추천0 조회수 8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제금(바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제의에 사용되는 타악기. 이 유물은 주로 산천거리·칠성거리·제석거리 등에 사용되는 무구(巫具)였다. 바라는 흔히 ‘제금(提琴)’ 또는 ‘줄바라’라고도 하며‚ 두 개의 바라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 무명천으로 연결한 형태가 보편적이다. 바라의 재료는 무쇠와 놋쇠를 합한 재료로 만들며 솥뚜껑 모양의 두 짝으로 되어 한복판에 끈을 꿰어 쥐고 두 짝을 마주쳐서 소리를 낸다. 서양악기 심벌즈와 그 모양과 구실이 비슷하고‚ 크기에 따라 제금·발·요발·동발 등이 있는데‚ 용도가 각기 다르다. 바라라는 명칭은 한자의 ‘발(鉢)’에서 나온 것으로‚ 고려와 조선시대의 음악 관련 사료에 다양한 종류의 ‘발’이 기재되어 있다. 원래 바라는 불교에서 쓰이던 악기인데 무속에서 받아들인 것으로‚ 무속에서는 특별히 ‘제금’이라 부른다. 무당이 제의 때 쓰는 장고·징·꽹과리·북·경쇠 등 타악기 중에서는 장고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중요한 것으로 다른 악기와 함께 장단을 맞추거나 무당이 직접 양손에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바라의 두 짝은 한국무(巫)에서 각기 햇님과 달님을 상징하며‚ 주로 신자식이 신부모에게서 물려받거나 무당이 직접 사서 쓴다. 이밖에 대취타에서는 장구·용고·징·태평소와 함께 쓰이며‚ 불교에서는 도량(사찰)을 정화하는 바라춤의 주요 도구이기도 하다. 이 유물은 머리 부분에 한글로 ‘정명철’‚ ‘이상진’이라고 점선으로 음각된 명문이 있다. <참고문헌> 농악(정병호‚ 열화당‚ 1990) 불교의식구(동국대박물관‚ 1995) <사진자료> 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 서울대출판부‚ 1999‚ 그림 6) <기타참고> 유기장(중요무형문화재 제77호 경기도 안산시 이봉주) <유사/관련 용어> 동반‚ 동발‚ 바라‚ 발‚ 발자‚ 요발‚ 자바라‚ 제금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