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포(道袍)끈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포(道袍)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도포끈[太繪帶:끈목띠]은 다회틀(太繪具)로서 짠 실띠인데 조선시대 남자 관복의 각대(角帶)를 제외한 포(袍)류의 허리에 매는 띠로 가느다란 실띠이다. 분합띠라고도 한다. 실띠에는 세조대(細條帶)·광다회(廣太繪)·동다회(童太繪)·요대(腰帶)등이 있으며‚ 실띠의 색깔은 품계에 따라 구분지었는데 당상관은 홍색·자주색·가지색이고 당하관은 청색·녹색을 띠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밖에도 수많은 색이 있어 제도를 떠나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노인들은 대개 회색이나 흰색의 세조대를‚ 상중(喪中)에는 백색의 세조대를 띠었다. 한편 왕도 평상시에는 도포를 입었는데 여기에 금사 세조대를 하였다고 한다. 세조대는 도포나 전복·답호등 통상 예복에 띠는 가는 원다회(圓太繪)실띠로 양쪽 끝에는 딸기술에 금사(金絲) 가락지를 물렸고‚ 왕이나 왕세자·왕세손은 금사로 만들었다. 광다회(廣太繪)는 문무관이 첩리(帖裏)에 띠는 것으로 두껍고 넓은 띠이며‚ 동다회는 관이나 반가의 선비들이 통상예복에 띠었던 실띠인데 납작하고 좁은 띠를 말한다. 학창의에는 검정색에 딸기술이 달린 동다회를 띠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복식사 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0) 한국매듭(김희진‚ 광명인쇄공사‚ 1974) <사진자료> 세조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권‚ 611쪽) 한국복식 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34쪽) 복식류 명품도록(고려대학교 박물관‚ 166쪽) 복식(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42쪽) 조선조장신구(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46쪽) <유사·관련 용어> 세조대‚ 광다회‚ 동다회‚ 분합띠‚ 실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