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남사당가면(男寺堂假面)-말뚝이탈

추천0 조회수 8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남사당가면(男寺堂假面)-말뚝이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남사당패가 연희하는 놀이 중의 하나인 덧뵈기[탈놀음]에서 쓰이는 탈. 먹쇠의 배역과 겸용하여 사용한다. 남사당패는 남자들로 구성된 떠돌아다니는 연예인 집단이다. 우리나라에 전하고 있는 떠돌이 예인집단으로는 이외에도 대광대패·솟대쟁이패·사당패·걸립패·중매구 등이 있었다. 현재 남사당패의 연원이나 형성 과정을 밝혀낼 만한 역사적인 자료는 거의 없는 편이다. 그러나 1900년대 초 이전까지는 민중을 대상으로 하는 놀이패 가운데 대표적인 집단이 바로 남사당패이다. 다섯번째 순서인 탈놀음 덧뵈기는 다른 지역의 탈놀음에 비해 의식성이나 행사성에 관계없이 그때그때 지역민의 갈구와 흥취에 영합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춤보다는 재담과 동작 부분이 우세한 풍자극으로 다분히 양반과 상놈의 갈등을 상놈의 편에서 의식적인 저항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덧뵈기는 마당씻이·옴탈잡이·샌님잡이·먹중잡이 등의 4장으로 구성된다. 한 패거리의 조직 구성을 보면‚ 맨위에는 두목에 해당하는 꼭두쇠가 있고‚ 그 밑에 기획자에 해당하는 곰뱅쇠가 있다. 그 아래로는 뜬쇠[숙련된 연희자]‚ 가열[보통 연희자]‚ 삐리[초입자]‚ 저승패[나이가 많아 연희는 못하고 뒷일을 돕는 사람]‚ 등짐꾼[연희 도구 등을 운반하는 사람] 등 있는데‚ 한 패거리는 대개 30명에서 50명으로 구성된다. 남사당패의 놀이는 모두 6가지가 있다. 순서대로 보면 풍물[농악]‚ 버나[대접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이]‚ 덜미[인형극‚ 꼭두각시놀음] 등인데‚ 여기에 얼른이라고 불리는 마술이 추가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탈(심우성‚ 대원사‚ 1994) <사진자료> 남사당(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심우성‚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09∼410쪽) <유사·관련용어> 버나‚ 살판‚ 땅재주‚ 어름‚ 줄타기‚ 남사당 덧뵈기‚ 덜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