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망건(網巾)

추천0 조회수 7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망건(網巾)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망건은 성인남자들이 상투를 틀 때 머리털을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 이마에 둘렀던 건의 일종이다. 상투를 틀어 망건으로 머리를 매고 그 위에 갓을 썼다. 망건은 말총이나 인모로 만들었는데 대부분 머리카락과 같은 검은 색이다. 그러나 상례를 치를 때는 백립(白笠)과 함께 백망건을 착용하는 것을 예의로 보았다. 망건은 말총을 엮어 긴 직사각형 띠의 형태로 만드는데 크게 이마에 닿는 부분인 `앞`과 뒷머리를 감싸는 `뒤`‚ 상부를 졸라매는 `당`‚ 아랫부분을 졸라매는 `편자`의 네 부분으로 되어있다. 이에 더하여 좌우 귀 부분에 `관자`라 하여 당줄을 걸어 매는 것이 있고 망건의 가운데 부분에 `풍잠`을 달아 장식하기도 하였다. 관자와 풍잠은 망건의 부속이기도 하지만 재료에 따라 지위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옥이나 금‚ 은‚ 호박‚ 대모‚ 금파‚ 각(角) 등의 다양한 보석으로 만들어 사치스럽게 사용하였다. 조선 말까지는 성인 남자의 차림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으므로 일상적으로 착용되었다. 지방에 따라 특징이 있었는데 통영망건은 섬세하고 질이 좋았으며 김제‚ 공주‚ 제주‚ 논산‚ 서울 등지에서도 많이 만들었다. 그러나 1895년 고종의 단발령 이후로 상투차림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망건은 사라지게 되었다. 대부분 새로 망건을 짤 때는 말총을 사용하고 헌 망건을 수리할 때는 인모(人毛)를 많이 사용하였다. 말총은 마르면 끊어지기 쉬우므로 사용할 때에는 항상 물에 적셔주는 것이 좋다. 젖으면 부드럽고 유연해서 잘 끊어지지 않는다. 망건의 때를 제거하기 위하여 계란 노른자를 발랐다가 망건솔과 부자(附子)로 깨끗이 씻는다. 망건을 위한 소품으로 망건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망건솔과 망건을 보관하기 위한 망건통 등이 있다. <참고문헌> 망건장(김종태‚ 무형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제 140호‚ 문화재관리국)‚ 문화재대관-무형문화재(下)(한국문화재보존협의회)‚ 우리나라 網巾飾에 관한 연구(장숙환‚ 이화여대학교 석사청구논문‚ 1988)‚ 중요무형문화재해설(문화공보부‚ 1988)‚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사진자료> 문화재대관-무형문화재(下)(한국문화재보존협의회)‚ 중요무형문화재해설(문화공보부‚ 1988) <유사관련용어> 망건‚ 관자‚ 망건솔‚ 망건통‚ 망건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