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등(手燈)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등(手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수등(手燈)은 집안을 밝히기 위해 처마밑 혹은 대청에 걸어두거나 외출시 밤길을 밝히는 데 사용하는 등기구이다. 제등(提燈)‚ 사방등(四方燈)‚ 방등(方燈)‚ 수촉등(手燭燈)‚ 수촉롱(手燭籠)이라고도 한다. 수등은 등 안에 초를 켜서 꽂아 들고 다니기 위해 짧은 자루가 달렸다. 또한 사면에는 창을 내고 밑에는 등좌(燈座)가 있으며 밑에는 풍혈을 뚫어 장식하였다. 밤길을 다닐 때 사용한 등으로 이미 고대 중국 하(?)나라 때 구초라는 것이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올가미를 씌운 등이라 하여 제등을 구초 또는 구등이라 했는데‚ 이것이 발전하여 제등‚ 괘등‚ 좌등 등이 되었다. 불교가 전래된 이후 제등이 불교 행사에 사용되면서 크게 발달했다. 제등은 의 예식용에 사용하거나 밤에 다닐 때 사용하는 휴대용 조명기구이다. 긴 손잡이용 자루를 달아 들고 다니기에 편하도록 만들었으며 때로는 마당에 대를 세우고 걸기도 했다. 자루를 만들 때 대나무 모양으로 마디를 새기기도 했다. 제등은 철사‚ 놋쇠‚ 대나무‚ 나무 등으로 뼈대를 만들고 표면에 종이나 깁을 발랐는데‚ 유리가 수입된 이후에는 유리를 끼우기도 하였다. 제등의 종류에는 초롱‚ 등롱‚ 조촉(照燭)‚ 조족등(照足燈)‚ 유제등(鍮提燈)이 있다. 등 안에 초나 등잔을 넣어 각기 초롱과 등롱(燈籠)이라고 구분하여 부르지만 대개는 혼용하여 부른다. 또한 등의 뼈대를 놋쇠로 만든 것을 유제등(鍮提燈)‚ 얇은 비단으로 만든 것을 사초롱(紗燭籠)이라고 부르는데‚ 특히 청홍사의 깁(紗)을 씌운 것을 각각 청사초롱·홍사초롱이라고 하여 의식용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속대전』에 의하면 의식용 초롱(혹은 청사초롱)은 신분에 따라 그 색깔을 달리 하여 구분하였다고 한다. 또한 지초롱은 조선 중기 이후에 밤길 나들이의 필수품으로 사용되었으며‚ 비상시를 대비한 접개식 초롱도 있어 소매 속에 넣어 다니기도 하였다. 관혼상제 등의 통과의례에는 낮에도 반드시 촛불을 밝혀 그 날을 빛내고‚ 모든 잡귀를 쫓아내길 바랬다. 또한 등불을 밝혀 귀인의 행차에 앞세워서 그 신분을 알리기도 했다. 이 유물은 나무로 직육면체의 뼈대를 만들었으며 뼈대에는 생칠(生漆)을 하였다. 수등 윗면은 구멍이 뚫려있고 옆면은 모두 문으로 구성되어있다. 문창틀 사면(四面) 안쪽에 기름을 먹인 백지(白紙)를 발랐으며 사면 위쪽에는 꽃무늬를 음각하였다. 등 천장 구멍에 놋쇠고리를 걸고 그 끝에 사슬에 매달린 목제 손잡이를 연결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의 세계 4(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광주민속박물관(광주민속박물관‚ 1997)‚ 이조 시대 등촉 기구에 관한 고찰(김삼대자‚ 이화여대‚ 1968)‚ 등잔(한국등잔박물관‚ 1999)‚ 불의 민속(국립민속박물관‚ 1996) <유사관련 용어> 제등(提燈)‚ 사방등(四方燈)‚ 방등(方燈)‚ 수촉등(手燭燈)‚ 수촉롱(手燭籠)‚ 구초‚ 구등‚ 괘등‚ 좌등‚ 초롱‚ 등롱‚ 조촉(照燭)‚ 조족등(照足燈)‚ 유제등(鍮提燈)‚ 사초롱(紗燭籠)‚ 지초롱‚ 접개식 초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