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해주먹(涇州墨)

추천0 조회수 25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해주먹(涇州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해주산 송연(松煙)으로 만든 먹. 먹은 문방사우(종이·붓·벼루·먹) 중 하나로 벼루에 갈아서 검은 액을 만들어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사용되는 것이다. 먹은 고대 중국에서 천연으로 산출되는 석묵(石墨 또는 석탄)에 옻(漆)을 섞어 사용한 것이 그 시초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먹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철경록》에 의하면 고구려 때 송연묵을 당나라에 세공으로 보냈다는 기록이 있고‚ 고구려 중인 담징이 영양왕 12년에 제묵법(製墨法)을 일본에 전파했다는 사실에서 삼국시대에 이미 먹을 사용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먹을 만드는 재료는 그을음과 풀과 향로이다. 용기에 기름을 가득 넣고 태워서 생긴 그을음을 풀로 곱게 반죽하고‚ 거기에 향로를 섞어 틀에 찍어내어 말린다. 그을음은 소나무·오동나무·옻(漆) 등의 식물유(植物油)나 석유를 태워서 만들기 때문에 먹을 유연묵(油煙墨)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 소나무 그을음으로 만든 먹을 따로 송연묵(松煙墨)이라 부르는데‚ 이것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먹이고‚ 오동나무 열매 기름을 태워서 얻은 그을음으로 만든 먹은 가장 상품(上品)으로 친다. 풀은 사슴부레풀이 가장 좋으며‚ 민어부레풀·소부레풀 등을 사용한다. 마지막에 섞는 향로는 서우향·용뇌·사향·황련·소목·연지 등을 쓴다. 먹은 대체로 봄·가을에 만들었으며‚ 조선말기에 황해도 해주와 평안도 양덕이 먹으로 유명했다. 먹은 그 색에 따라 검은먹(黑墨)과 붉은먹( 墨)이 있는데‚ 글씨를 썼을 때 보랏빛이 도는 것을 상품(上品)으로 쳤고‚ 그 다음이 검은 빛이고‚ 푸른 빛이 도는 것을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쳤다. 또한 먹은 그 치장에 따라서도 구분되는데‚ 한 면에 먹 이름을 금박 또는 은박으로 쓰고 다른 면에는 여러 가지 색으로 그림을 그린 채색먹‚ 그림 없이 글자만 쓰거나 그림을 양각한 무채색먹이 있다. 먹은 입자가 곱고 가벼우며 광택이 있어야 한다. 또한 향기가 좋고 먹을 갈 때 소리가 나지 않아야 좋은 먹이다. 먹을 안 쓸 때는 쑥 속에 넣어 두면 좋고‚ 습기가 많을 때에는 종이에 싸서 석회가루에 묻어 두면 변질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문방제구(국립중앙박물관‚ 1992) 문방사우(이겸노‚ 대원사‚ 1993) 서예(신주선‚ 대원사‚ 1992) 문방구 100선(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8) <유사·관련 용어> 먹‚ 묵‚ 석묵‚ 송연묵‚ 유연묵‚ 유송묵‚ 채색먹‚ 무채색먹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