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징신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징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진땅에 신는 가죽신. 진신은 기름에 생가죽을 절여서 만든 신으로 유혜(油鞋)‚ 이혜(泥鞋)라 하기도 했고 징을 박았다 하여 `징신`이라 하기도 했다. 진신은 삼국시대 이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우중(雨中)에 신는 신발로 일반화되었는데‚ 1920년경부터는 값싸고 경제적인 고무신의 등장으로 진신이 자취를 감추게 된다. 진신은 조선시대 양반 계층에서 비가 올 때나 땅이 젖었을 때 신었다. 신발 모양은 남자신은 태사혜(?史鞋) 모양이며‚ 여자신은 당혜(唐鞋)나 운혜(雲鞋)와 같았다. 만드는 방법은 생가죽을 들기름에 절여 물이 스며들지 않고 오래 견디도록 여러 겹을 겹쳐서 바닥을 만든다. 신등의 가장자리는 역시 가죽으로 백비를 쳐서 안으로 감쳤으며‚ 봉임법(縫 法)은 청올치실로 견고한 박음질법을 쓰고 있다. 사용되는 가죽은 탄탄한 소가죽‚ 말가죽‚ 개가죽 등이었다. 또한 밑창에 징을 박기도 하였는데‚ 가장자리에만 두 줄로 박은 것이 있고‚ 중간 부분까지 촘촘히 박은 것도 있다. 징은 지름 0.7cm정도의 원형 돌기로 만들어 밑창의 둘레에 촘촘히 박고‚ 앞바닥 가운데와 뒤꿈치 중간에는 세로 1cm‚ 가로 2cm정도의 반원형이나 사분원 모양의 얇은 쇠붙이 징을 박았다. 이 징은 방침(防?)이 잘되어 신의 수명을 길게 하고‚ 진흙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5) 한국의 복식(백영자‚ 경춘사‚ 1993) 한국복식사(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신발의 변천(국립민속박물관‚ 한국복식2천년‚ 1995) <사진자료> 운혜와 진신(한국의 복식‚ 백영자‚ 경춘사‚ 1996‚ 342쪽) 진신(한국복식사‚ 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187쪽) 진신(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1995‚ 283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