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봉산탈[상좌]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봉산탈[상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중요무형문화재 제 17호 봉산탈춤에 등장하는 탈. 제 1과장 사상좌춤에 등장하는 상좌(上佐)의 탈이다. 머리는 미백색 바탕에 검정색 점을 찍어 여승(女僧)을 표현하였고‚ 눈과 입은 투각되어 있다. 눈썹과 눈 가장자리는 검은색이고 입술은 주황색이다. 탈 뒷면은 상부에 탈보를 달고 중간에 한 쌍의 탈끈을 달았다. 뒷면 상단에 탈의 명칭‚ 만든 사람의 이름과 주소·소속이 기입된 종이가 부착되어 있다. 봉산탈춤은 황해도 일원에 전승되는 해서탈춤의 하나이다. 1967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봉산탈춤은 주로 5월 단오와 원님의 생일이나 관아에 경사가 있을 때 특별히 상연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중국 사신을 영접할 경우에도 상연하였다. 봉산탈춤은 주로 하층 관리·상인·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탈놀이를 하였고‚ 다른 가면극에 비해 한시 구절의 인용과 풍자적으로 시문을 개작한 것이 많다. 이 탈놀이의 주제는 양주별산대놀이와 큰 차이는 없는데‚ 벽사(?邪)의 의식무와 굿‚ 파계승에 대한 풍자‚ 양반에 대한 모욕‚ 남녀의 대립과 갈등‚ 서민생활의 실상들을 보여준다. 봉산탈춤의 탈놀이는 6과장(科場)으로 또는 7과장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6과장으로 구분하면 제1과장은 상좌(上佐)춤과장‚ 제2과장은 팔(八)먹중과장‚ 제3과장은 노장(老長)중과장-제1경(景) 먹중놀음‚ 제2경 소무(小巫)놀음‚ 제3경 원숭이놀음‚ 제4경 취발이놀음)‚ 제4과장은 사자(?子)춤과장‚ 제5과장은 양반과장‚ 제6과장은 미얄할미·영감과장으로 되어 있다. 7과장으로 구분하면 제1과장은 사상좌춤‚ 제2과장은 팔목중춤‚ 제3과장은 사당(社堂)춤‚ 제4과장은 노장춤(제1경 파계승놀음‚ 제2경 신장수놀음‚ 제3경 취발이놀음)‚ 제5과장은 사자춤‚ 제6과장은 양반춤‚ 제7과장은 미얄춤이다. 봉산탈춤은 양주별산대놀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팔목중·사당춤·사자춤 과장이 양주별산대놀이와 다르다. <참고문헌> 한국의 가면극(이두현‚ 일지사‚ 1979) 해주가면극의 연구(최상수‚ 정동출판사‚ 1983)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비디오/CD롬 자료> 봉산탈춤(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유사/관련 용어> 가두‚ 가면‚ 가수‚ 대면‚ 먹중‚ 면구‚ 목중‚ 묵중‚ 봉산‚ 봉산탈춤‚ 사상좌‚ 상좌‚ 양주별산대놀이‚ 여승‚ 오광대‚ 은율탈춤‚ 탈‚ 탈놀이‚ 탈바가지‚ 탈박‚ 탈춤‚ 팔먹중‚ 팔목중‚ 팔묵중‚ 해서탈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