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접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국이나 면류 등을 담는 사발보다 큰 그릇의 일종. 대첩이라고도 한다. 대접은 국이나 숭늉 등을 담는 식기로서 사발보다 크며‚ 흔히 밥그릇과 한 벌로 갖춰진다. 형태는 넓적하고 옆으로 퍼진 형태가 일반적인데 대체로 윗지름이 넓고 바닥은 윗지름보다 좁으며 그 사이가 곡선형으로 이어져 있다. 대접은 빗살무늬토기 시대의 발형토기(鉢形土器)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여진다. 삼국시대 고분에서 나온 청동제완(靑銅製椀) 중에는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대접과 형태가 같은 것이 여러 개 있다. 재질은 사기·은·놋쇠로 많이 제작되었으며‚ 나무로도 만들어졌다. 대접 중에서도 보통 것보다 큰 것이 있는데‚ 이것을 ‘연잎대접’이라 한다. 연잎대접은 연잎처럼 넓은 대접이라는 뜻으로 보통 놋쇠나 백동(白銅)으로 만들어 가장(家長)의 국그릇으로 사용하였다. 이 유물은 방짜 기법을 사용하여 만든 놋대접이다. 위가 넓적하고 운두가 낮으며 뚜껑이 없다. 원형으로 배가 부르고 구연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다. 바닥에 낮은 굽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전통공예(이종석‚ 열화당‚ 1994) 우리말 조리어 사전(신광출판사‚ 1996) 우리의 부엌살림(박록담ㆍ윤숙자‚ 삶과꿈‚ 1997) <사진자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식생활용구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8) 우리의 부엌살림(박록담ㆍ윤숙자‚ 삶과꿈‚ 1997) <기타참고> 한국의 유기(광주민속박물관‚ 1996) <유사·관련 용어> 그릇‚ 대첩‚ 발형토기‚ 방짜‚ 빗살무늬토기‚ 사발‚ 식기‚ 연잎대접‚ 청동제완‚ 음식기‚ 놋그릇‚ 유기‚ 사기대접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