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양주산대가면(楊州山臺假面)-눈끔적이탈

추천0 조회수 19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양주산대가면(楊州山臺假面)-눈끔적이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주산대가면의 눈끔적이탈은 양주별산대놀이 제4과장 연잎·눈끔적이놀이에 등장하는 탈이다. 탈은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모양을 만들어 주로 얼굴에 써서 분장(扮裝)에 사용하는 것이다. 한자어로는 면(面)‚ 면구(面具)‚ 가면(假面)‚ 대면(代面)‚ 가두(假頭)‚ 가수(假首) 등이라 하였다. 우리말로는 광대‚ 초라니‚ 탈‚ 탈박‚ 탈바가지 등으로 불렀다. 눈끔적이탈의 일반적인 형태의 특징을 살펴보면‚ 얼굴바탕은 자주색이다. 눈은 좌우로 안정되어 있다. 눈썹은 반달형이며 눈보다 크다. 그리고 노란색·녹색 띠가 여러 개 그려져 있으며‚ 선의 경계는 검정색으로 그려져 있다. 입은 약간 벌린 상태이며 볼이 크게 들쳐져 있다. 그리고 볼의 가운데에 큰 녹색 점이 그려져 있다. 한편 얼굴에는 녹색점이 무수히 찍혀 있다. 이마에는 깊은 주름이 세 가닥 그려져 있다. 또한 입과 볼 사이에도 깊은 주름이 그려져 있다. 눈끔적이 탈의 탈보는 흰색이다. 이 유물은 초콜릿색 바탕에 초록색 점이 있다. 탈보는 흰색의 포(布)로 만들었다. 눈은 황색 종이가 오르내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눈끔적이는 지살성(地煞星)·지살성(地殺星) 또는 지신(地神)이라고도 한다. 눈끔적이와 함께 등장하는 연잎이 천신적(?神的) 존재라면 눈끔적이는 지신적(地神的) 존재이다. 여기서 두 인물은 옴중과 목중을 쫓는 근엄한 인물로 나온다. 이런 점에서 지상에서 두려운 존재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 눈끔적이는 등에 호랑이를 그린 장삼을 입는다. 그리고 붉은 띠를 매고 회색 행전을 한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경기지방에서 공연되어 온 산대도감극의 한 분파이다. 일반적으로 서울의 본산대(本山臺)는 애오개산대‚ 사직골 딱딱이패‚ 녹번리산대‚ 노량진산대‚ 구파발산대‚ 퇴계원산대‚ 가믄돌산대‚ 의정부산대‚ 송파산대 등이 있다. 양주의 별산대는 이와 같은 본산대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이것이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모두 8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과장은 상좌춤‚ 제2과장은 옴중놀이‚ 제3제과장은 옴중·목중놀이‚ 제4과장은 연잎·눈끔적이놀이‚ 제5과장은 팔목중놀이(제1경:염불놀이‚ 제2경:침놀이‚ 제3경:애사당법고놀이)‚ 제6과장은 노장놀이(제1경:파계승놀이(팔목중놀이)‚ 제2경:말뚝이춤(신장수놀이)‚ 제3경:취발이놀이)‚ 제7과장은 샌님놀이(제1경:의막사령놀이‚ 제2경:포도부장놀이)‚ 제8과장은 신할아비·미얄할미놀이로 구성되어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파계승‚ 몰락한 양반‚ 무당‚ 하인‚ 평민 등을 등장시켜 현실 폭로와 풍자‚ 파계승에 대한 풍자‚ 양반에 대한 비판‚ 평민 한국민족대백과사전-탈‚ 탈놀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사진자료> 양주별산대놀이(글 정형호‚ 사진 서헌강‚ 화산문화‚ 2000)‚ 탈(하외동 탈 박물관) <유사관련용어> 탈‚ 면‚ 면구‚ 가면‚ 대면‚ 가두‚ 가수‚ 광대‚ 초라니‚ 탈박‚ 탈바가지‚ 산대도감극‚ 양주별산대놀이‚ 본산대‚ 애오개산대‚ 사직골 딱딱이패‚ 녹번리산대‚ 노량진산대‚ 구파발산대‚ 퇴계원산대‚ 가믄돌산대‚ 의정부산대‚ 송파산대‚ 별산대‚ 연잎·눈끔적이놀이‚ 지살성‚ 지신‚ 연잎‚ 목중‚ 옴중·목중놀이‚ 팔목중놀이‚ 염불놀이‚ 침놀이‚ 애사당법고놀이‚ 노장놀이‚ 파계승놀이‚ 팔목중놀이‚ 말뚝이춤‚ 신장수놀이‚ 취발이놀이‚ 샌님놀이‚ 의막사령놀이‚ 포도부장놀이‚ 신할아비·미얄할미놀이들의 생활 등을 보여주고 있다. 놀이는 보통 밤 10시경에 시작하여 다음날 새벽까지 계속되었다. 이 놀이에서는 피리‚ 젓대‚ 장고‚ 북‚ 꽹과리 등을 반주악기로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양주별산대놀이(글 정형호‚ 사진 서헌강‚ 화산문화‚ 2000)‚ 해주가면극의 연구(최상수‚ 정동출판사‚ 1983)‚ 한국의 가면극(이두현‚ 일지사‚ 197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