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접시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음식을 먹기 좋도록 담거나 음식이 담긴 그릇의 밑에 받쳐 사용하는 납작한 그릇. 접시는 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굽이 없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굽이 있는 것은 제물(祭物)을 괼 때 주로 사용하였다. 접시는 순수한 한글이지만 한자로 접시(?匙)?접시(?匙)?접자(接子) 등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원래는 우묵한 사발의 일종이었으나 점차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으로 변하여 온 것으로 보이는데‚ 신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고배(굽다리 접시)를 그 원형으로 보기도 한다. 접시가 식기로 보편화한 것은 고려시대이며 조선시대에는 표면에 특이한 문양까지 새겨 넣는 등 더욱 발전된 형태의 식탁용기로 사용되었다. 접시의 재질 또한 일반 식기들과 마찬가지로 초기에 청동에서부터 철?금?은?칠기?유리?나무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이후 도자기의 발달로 청자나 백자 등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접시는 장식에 따라 그 형태도 변형되어 화형과 방형이 등장하고 기능적인 요인에 의한 구조적인 변화로 높은 굽이 있는 접시와 굽이 없는 접시로 분화되기도 하였다. 전자는 제기(祭器)로 많이 사용되었다. 일상생활 속에서 접시는 높이가 거의 없고 납작하여 대접이나 사발보다는 쓰임이 적었으며‚ 서구식 생활의 보편화하면서 오히려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음식을 먹기 좋도록 담거나 음식이 담긴 그릇의 밑에 받쳐 사용하는 납작한 그릇. 접시는 굽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굽이 없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굽이 있는 것은 제물(祭物)을 괼 때 주로 사용하였다. 접시는 순수한 한글이지만 한자로 접시(?匙)·접시(?匙)·접자(接子) 등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원래는 우묵한 사발의 일종이었으나 점차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으로 변하여 온 것으로 보이는데‚ 신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고배(굽다리 접시)를 그 원형으로 보기도 한다. 접시가 식기로 보편화한 것은 고려시대이며 조선시대에는 표면에 특이한 문양까지 새겨 넣는 등 더욱 발전된 형태의 식탁용기로 사용되었다. 접시의 재질 또한 일반 식기들과 마찬가지로 초기에 청동에서부터 철·금·은·칠기·유리·나무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이후 도자기의 발달로 청자나 백자 등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접시는 장식에 따라 그 형태도 변형되어 화형과 방형이 등장하고 기능적인 요인에 의한 구조적인 변화로 높은 굽이 있는 접시와 굽이 없는 접시로 분화되기도 하였다. 전자는 제기(祭器)로 많이 사용되었다. 일상생활 속에서 접시는 높이가 거의 없고 납작하여 대접이나 사발보다는 쓰임이 적었으며‚ 서구식 생활의 보편화하면서 오히려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박록담ㆍ윤숙자‚ 도서출판 삶과 꿈‚ 1997) <기타참고> 한국고대의 토기(국립중앙박물관‚ 1997) 고고학이 찾은 선사와 가야(국립김해박물관‚ 2000) <비디오/CD롬 자료> 사기장(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유사/관련 용어> 개배‚ 고배‚ 그릇‚ 기대‚ 대접‚ 대접‚ 대접시‚ 덥시‚ 모멀사기‚ 백자‚ 백자유‚ 백자접시‚ 소접시‚ 식기‚ 양접시‚ 완‚ 자배기‚ 잔‚ 잡시‚ 장구‚ 저장구‚ 접시기‚ 제기‚ 젭시‚ 중접시‚ 첩시 이 유물은 백자 모멀사기 접시로 운두가 낮고 납작하다. 전체적으로 유백색을 띠고‚ 외면이 각을 이루며‚ 비교적 높은 굽이 달려 있다. 전체적으로 기벽이 두꺼우며‚ 백자유가 두껍게 시유되고 전면에 빙열이 있다. 일부 산화되어 붉은 색을 띠며‚ 굽 10곳에 내화토 받침 있고‚ 내저에 내화토 받침을 받쳐 포개 구운 흔적이 있다. <참고문헌> 이조도자(정양모‚ 동화출판공사‚ 1973) 백자(중앙일보사‚ 1990) 토기(한병삼 감수‚ 중앙일보사‚ 1990) 한국의 전통공예(이종석‚ 열화당‚ 1994) 우리말 조리어 사전(신광출판사‚ 1996) <사진자료> 옹기와의 대화(정병락‚ 옹기민속박물관‚ 1997) 조선백자(김영원‚ 대원사‚ 1992) 우리의 부엌살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