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패랭이

추천0 조회수 6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패랭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댓개비로 성글게 대우와 양태를 엮어 만든 입자(笠子). 평량립(平凉笠)‚ 평량자(平凉子)라고도 하며‚ 폐양자(蔽陽子)‚ 차양자(遮陽子)라고 하는데‚ `햇빛을 가려주는 모자`라는 뜻이다. 패랭이는 고려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방립(方笠)과 흑립(黑笠)의 중간단계 즉‚ 갓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속하는 것이다. 패랭이는 조선 초기에 흑립이 양반층의 전유물이 되면서 역졸(驛卒)‚ 보부상(褓負商)‚ 백정 등의 천한 층이 착용하거나 상복(喪服)으로서 상주(喪主)가 외출시에 두건 위에 쓰게 되었다. 비오는 날 노동모로서 사용하기도 하였다. 역졸은 흑칠한 것을 쓰고‚ 보부상은 갓끈을 꿰어 단 꼭대기에 주먹크기 만한 목화송이를 얹어 썼다. 패랭이는 반듯하게 내려간 방립의 허리를 잘룩하게 꺾은 형태로‚ 대우와 양태의 구분이 분명하다. 원형의 첨(챙)이 머리 둘레에 빙 둘러 부착되어 있는 모자로‚ 형태가 갓과 비슷하나 양태가 좁고 모정(帽頂)이 둥글다. 색상은 일반적으로 대나무 원래의 색깔[素色] 그대로 썼다. 패랭이는 상류층보다는 서민층의 쓰개로 널리 애용되었던 입자로 천한 사람이 패랭이를 쓰기는 하되 길에서 양반을 만나면 이를 벗고 길바닥에 엎드리는 것이 습속으로 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김문자‚ 교문사‚ 1998) 한국복식(이순원·백영자‚ 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2)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리조복식도감(이인찬‚ 동문선‚ 1991) 한국복식사(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한국의 복식문화 II(임명미‚ 경춘사‚ 1997)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사진자료> 패랭이 -한국복식(이순원·백영자‚ 방송통신대학출판부‚ 1992‚ 173쪽) 평양자-한국복식사(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99쪽) <유사·관련 용어> 갓‚ 관모‚ 입자‚ 평량립‚ 평량자‚ 폐양자‚ 차양자‚ 흑립‚ 초립‚ 방립‚ 대우‚ 양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