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탕건통(宕巾桶)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탕건통(宕巾桶)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탕건을 넣어 보관하는 통. 탕건은 망건과 함께 흘러내린 머리카락을 감싸고 상투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 망건의 덮개이며 갓의 받침으로 사용하던 것이다. 조선시대 사대부 계층에서는 평상시 관을 대신하여 썼으며 집안에서 탕건만을 쓰고 손님을 맞이하기도 하고 외출 시에는 갓 아래 받쳐 썼다. 중인계층에서는 망건 위에 독립된 관모로 사용하기도 했다. 탕건은 본래 망건 위에 쓰고 그 위에 반드시 갓을 얹어 쓰는 것이 관례였으나‚ 조선말기 서민들에 대한 갓의 착용이 허용되고 집안에서는 갓 대신 탕건만 쓰는 풍조가 늘어나면서 점차 독립된 모자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탕건이 언제부터 쓰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경도잡지》풍속조에 `당건`이라는 용어를 `탕건`으로 풀이한 것으로 보아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할 뿐이며‚ 그 형태를 보아 중국의 복두와 사모등의 영향을 받아 생긴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19세기 민간기록인 《규합총서》의 팔도물산조에는 탕건의 명산지로 평안북도 정주를 들고 있어 탕건이 18세기 이전부터 유행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탕건은 말총을 소재로 하는데‚ 말총은 부드러운 느낌과 유연성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좋고 견고하며‚ 땀이나 기름때에 잘 오염되지 않을 뿐 아니라 세탁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탕건은 앞이 낮고 뒤는 높아 턱이 져 있고 꼭대기 부분이 반원형으로 평평하다. 앞뒤를 각지게 하였고 앞면은 잘록하게 멋을 부렸다. 탕건을 보관하는 탕건통은 가볍고 단단한 나무나 종이‚ 대오리[竹絲] 등을 소재로 하여 만든다. 탕건의 형태와 같이 만들기도 하고 원형이나 팔각의 통형으로 만들기도 한다. 대나무를 사용하여 만들 때는 대나무를 쪼개어 탕건 모양으로 얽어 그 위에 창호지를 몇 겹 바르고 또 발라서 탱탱해 지도록 만든다. 탕건통은 밑에 문을 내어 탕건을 집어 넣게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탕건통은 탕건이 부드럽고 유연하여 그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목침에 서랍을 만들어 보관할 정도로 탕건을 늘 몸 가까이에 두고 사용하였음을 엿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의 관모(온양민속박물관‚ 1988)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5) 한국전통복식사연구(고복남‚ 일조각‚ 1986) 장신구사(서지민‚ 한국장신구연구원‚ 1986)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1998)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사진자료> 조선시대의 관모(온양민속박물관‚ 1988‚ 84쪽) <유사·관련 용어> 탕건. 홑탕건. 겹탕건. 바둑탕건. 제주탕건. 가덕탕건. 탕건집. 탕건걸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