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삼척교지

추천0 조회수 6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삼척교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삼척향교(三陟鄕校)에서 편찬‚ 1956년(丙申) 2월에 석인(石印) 했다. <삼척향교> 삼척시 교동 삼척초등학교 뒤편에 있다. 태조 7년(1398) 고사음곡(古寺音谷‚ 혹은 壯寺?:지금의 고사리재 동쪽기슭)에 처음 건립하였다가 태종 7년(1407)에 부사 권전(權琠)이 옥서동(?瑞?:현 당저동)으로 이전했고‚ 세종 21년(1439)에는 대소인원개하마비(?小人員皆下馬碑)를 세웠고‚ 세조 14년(1468) 현 위치인 교동으로 이전하면서 먼저 동서재(東西齋)를 지었다. 성종 원년(1470)에 대성전(?成殿)을 건축하고‚ 성종 2년(1471)에는 생도 40명에서 70명으로 증원했다.(원래 도호부에는 생도정원이 40명이었다.) 성종 3년(1472)에는 남루인 명륜당(明倫堂)을 세웠다. 선조 9년(1576) 부사 김효원(金孝元)이 자성고(제물창고)를 짓고‚ 선조 13년(1580) 부사 황정식(黃정式)이 남루호유(南樓戶유:명륜당 창문)와 재주(齊廚:주방)를 지었다. 광해 3년(1611) 생원(生員) 김계건(金啓鍵)등이 동서무의 건축을 순상(巡相) 오윤겸(吳允鎌)에게 건의하였던 바‚ 현종 6년(1665)에 동서무를 건축하였다. 효종 7년(1656)에 부사 이지온이 대소인원개하마비를 세우고‚ 망료석함(望燎石函)을 만들었다. 숙종 8년(1682) 부사 유송제(柳松齊)는 중수한다는 이유로 향교를 건지동으로 이전하였다가‚ 유림들의 반발로 상부에 발각되어 체포되고‚ 간사 최동흘(崔東屹)은 강릉에 수감되었다가 다음 해 풀려 나왔다. 숙종 26년(1700) 부사 심단(沈檀)이 현 위치로 다시 옮기려고 터만 닦아 놓았고‚ 숙종 27년(1701)에 이건 하였으며 숙종 36년(1710) 부사 이성조(李聖肇)가 대성전(?成殿)이란 현판을 쓰고‚ 명륜당을 중수 후 주자필(朱子筆)을 모사하여 명륜당(明倫堂)이란 현판도 게시하였다. 고종 40년(1903) 신구유론(新舊儒論)의 분쟁이 일어났는데‚ 고종 43년(1906)에 신구유통론(新舊儒通論)이 되었으나‚ 이 분쟁은 계속되어 오다가 1910년에 정리되었다. 순종 2년(11908) 처음으로 직원(直員:현 전교) 제도가 실시되었고‚ 1918년 군수 심의승(沈宜昇)은 삼척공립보통학교를 죽장사 자리에서 향교 명륜당 앞 현 위치에 이전하였다. 1925년 장의선거제(掌儀選擧制)를 실시하고 1941년 장경실(藏經實)을 짓고‚ 1946년(해방 다음해) 척주지(陟州誌)를 향교에서 간행하였으며‚ 1947년 직원(直員)은 전교(典校)라 개정했다. 1968년 명륜당과 부속건물이 전소되었는데‚ 1970년에 명륜당을 중건했다. 1976년 묘정비(廟庭碑)를 세웠고‚ 1979년 본당중수‚ 홍살문‚ 조감도‚ 안내판을 설치하였으며 1982년 9월 20일 봉황문‚ 안내판을 신설‚ 유림회 주관으로 매년 음 2월과 8월 초정일(初丁日)에 석전제(釋?祭)를 올림. 1985년 지방 유형문화재 102호로 지정 받았다. 삼척향교는 창건이래 5차에 걸친 이건(移建)과 10수차의 중수(重修)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http://www.samcheok.go.kr/sige/si070.htm http://www.samcheok.go.kr/sige/si069.ht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