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투전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투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두꺼운 종이로 손가락 너비만 하고 다섯치쯤 되게 만들어 그림으로 끗수를 나타낸 노름 제구의 하나.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두꺼운 종이로 나비는 손가락만하고‚ 길이는 15cm쯤 되게 만들어 그 위에 인물·새·짐승·곤충·물고기 등의 그림 또는 시구(詩句)나 문자를 그려 끗수를 나타낸다. 원래 중국에 있던 것이 임진왜란 때 명(明)나라 군사를 통해 한국에 전래되었다는 설과 숙종 때 장현(張炫)이 당상통역관(堂上通譯官)으로 중국에 드나들면서 가져왔다는 설 등이 있으나 확실치 않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 보면 81장을 한 벌로 치고 1∼9까지에 사람·물고기·꿩·별·말·노루·토끼의 이름이 있고‚ 따로 각각 장수가 있어 인장(人將)을 황(皇)‚ 어장(魚將)을 용(龍)‚ 조장(鳥將)을 봉(鳳)‚ 치장(雉將)을 응(鷹:매)‚ 성장(星將)을 극(極)‚ 마장(馬將)을 승(乘)‚ 장장(?將)을 호(虎)‚ 토장(兎將)을 취(鷲:독수리)라 한다. 오늘날은 많이 변하여 대개 1∼10까지 각 6장을 1조로 하여 모두 60장으로 하는데 그것도 투전할 때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그 일부만을 사용한다. 투전의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어 동동(同同)이·가보잡기·찐붕어·엿방망이 등이 있으나 모두 속임수를 쓰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화투가 등장하면서 투전은 점차 자취를 감추어 오늘날은 보기 힘들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