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12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악기 가운데 대표적인 타악기로 통의 마구리에 동물 피막(皮膜)을 팽팽하게 씌워 울리게 하는 악기‚ 즉 드럼의 총칭. <특징> 피막을 이용하기 전에는 목고(木鼓)·죽고(竹鼓) 등이 쓰였다.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역사도 오래되고‚ 세계 모든 지방에서 그 발생을 볼 수 있다. BC 3‚000년의 고대 오리엔트의 조각에는 피막을 씌운 큰북이 새겨져 있다. 고대 이집트나 아시리아의 조각에도 요고(腰鼓)·탬버린 등이 새겨져 있다. 고대 중국에서도 제사·주술음악에 여러 가지 북이 쓰였다. 북의 용도는 동물이나 적을 위협하여 격퇴할 때‚ 또 제사나 주술용으로‚ 경보나 신호의 도구로‚ 음악표현을 위한 리듬악기·선율악기로 사용되어 왔다. 북의 막면(膜面)은 주로 말·소·양·염소·개 등의 동물가죽이 쓰이며‚ 뱀·도마뱀·어피(魚皮) 등도 쓰인다. 또한 최근에는 견포(絹布)나 합성수지로 만든 것도 있다. 북에는 단면고(單面鼓)와 양면고가 있는데‚ 단면고는 접착제로 막면을 고정시킨다. 양면고는 가축끈 등 나무덩굴·섬유로 된 끈으로 죄거나‚ 접착제나 징못으로 고정시킨다. 또는 쐐기를 죄는 끈 사이에 박아 장력(張力)을 팽팽히 하거나‚ 나사못을 박는다. 북의 연주법으로는 채에 의한 타주(打?)‚ 손이나 손가락에 의한 타주‚ 막면을 마찰하는 방법‚ 악기를 진동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한국의 북 종류>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북 종류를 8음(八音:악기를 만드는 8가지의 재료) 중 혁부(革部)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는 모양‚ 치는 법‚ 쓰이는 곳 등이 다른 수십 종이 전한다. 그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소고(小鼓) : 속칭 매구북이라고도 한다. 농악이나 선소리·속요 등을 할 때 들고치는 작은북이다. 자루가 달려 있어 빙글빙글 돌리며 앞뒤를 나무 채로 쳐서 장단을 맞춘다. (2)장구[杖鼓] : 허리가 잘록하여 세요고(細腰鼓)라는 별칭이 있다. 삼국시대부터 쓰였으며‚ 무악(舞樂)·법악(法樂)·농악·속요에까지 가장 널리 쓰이는 북이다. 오동나무나 소나무의 통에다‚ 오른쪽에는 쇠가죽을 얇게 매어 채로 치고‚ 왼쪽에는 말가죽을 두껍게 매어 손으로 친다. 앉아서 치는 경우도 있고‚ 끈으로 어깨에 메고 춤을 추며 연주하기도 한다. (3)좌고(座鼓) : 궁중 연례악(宴禮樂)에 쓰인다. 네모진 긴 북틀의 걸쇠에 3개의 북고리를 걸고 나무 북채로 친다. 관현합악(管絃合樂) 등 큰 합주와 무용반주‚ 삼현육각(三絃六角)에도 쓰인다. (4)건고(建鼓) : 세종 때 박연(朴堧)이 만든 것이다. 궁중 조하악(朝賀樂)에 쓰던 가장 호화롭게 장식되고 거창하게 중에서 가장 큰 북이다. (9)삭고(朔鼓) : 세종 때 박연(朴堧)이 만든 것이다. 궁중 조하악(朝賀樂)에 쓰였다. (10)영고(靈鼓): 세고와 그 용도가 비슷하다. 음악이 시작될 때 먼저 세 번 흔들어 친다. 북의 수가 4개인 사면고(四面鼓)다. (11)교방고(敎坊鼓) : 궁중 하례(賀禮)와 행악(行樂)에 쓰였다. 북면을 아래위로 향하게 하여 네 기둥에 걸쇠를 박아 만든 북틀에 걸어 놓고 친다. (12)중고(中鼓) : 교방고와 비슷하다. 교방고 보다 북통이 크고 높다. (13)노도(路) : 용도와 모양이 노고와 같다. 북통 양쪽에 가죽끈이 달려 있다. 음악이 시작될 때 비스듬히 뉘어 세 번 흔들면‚ 가죽끈이 북면을 쳐서 소리를 내게 되어 있다. (14)절고(節鼓) : 궁중 제례에 쓰인다. 방대 위에 얹어 놓고 친다. (15)응고(應鼓) : 삭고와 같다. 음악이 시작될 때 삭고가 먼저 울린 다음에 이에 응하여 받아친다. (16)무고(舞鼓) : 교방고보다 약간 작은북이다. 2개의 북채로 무고춤을 추면서 사이사이에 친다. (17)뇌도(雷) : 뇌고와 용도가 같다. 3개의 북을 엇갈리게 겹쳐서 매달고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 흔들 북이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꾸민 큰북이다. 진고(晋鼓)만한 큰북을 네 호랑이 대받침에 세우고‚ 북 위에는 2층의 호화로운 방개(方蓋)가 있다. (5)용고(龍鼓) : 세종 때 만들어진 군악용 북이다. 2개의 고리가 있어 취타 행진시에는 무명천을 질빵으로 삼아 어깨와 허리에 걸쳐 메고‚ 양손의 북채로 힘차게 쳐 울린다. (6)노고(路鼓) : 세종 때 만든 것이다. 궁중 제례악(祭禮樂)에 사용하였다. 지금도 문묘제향 때에 헌가(軒架)에서 쓰이고 있다. 길이 1m쯤 되는 2개의 북을 십자형으로 포개어 북틀에 매달고 친다. (7)영고(靈鼓) : 세종 때부터 궁중 제례악에 사용하였다. 북틀에 매달고 치는데‚ 북의 면이 8개인 팔면고(八面鼓)다. (8)진고(晋鼓) : 송나라 인종 때 만들어 고려 예종 때 수입되었다. 궁중 제례악에 쓰이던 큰 북이다. 북통 길이가 160cm나 되어 소리가 웅장하며‚ 북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