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 명기 발(白磁 明器 鉢)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 명기 발(白磁 明器 鉢)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명기란 신명(神明)의 기(器)라는 뜻으로 중국에서 껴묻거리[副葬品]로서 매장한 것들을 말하며 귀기(鬼器)‚ 가기(假器)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죽은 후의 세계에서 사용할 생활용구를 사자(死者)와 함께 분묘에 넣어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다. 무덤 속에 넣기 때문에 주로 흙을 구워 만들었고 죽은 자가 생전에 사용한 기구‚ 인물‚ 동물 등을 모조하였다. 중국에서 출토된 명기를 보면 은(殷) ·주(周)시대의 무덤에서 출토한 청동이기(靑銅彛器)와 도기‚ 전국시대의 무덤에서 출토한 흑도상(黑陶像)‚ 도질(陶質)의 솥[鼎] ·항아리[壺] ·두(豆:제사 때 쓰는 제기) 등이 있다. 한대(漢代)에는 명기 제작이 더욱 성행하여 크고 작은 인물의 토우를 비롯하여 개 ·돼지 ·닭 등의 동물‚ 가옥 ·창고 ·우물 ·솥 ·가구 ·식기 등의 모형이 제작되었다. 남북조시대의 명기는 불교의 영향을 받았고 수(隋) ·당(唐)나라 때에는 삼채유(三彩釉)를 사용하여 사실성이 있는 말 ·낙타 ·인물 등을 만들었다. 명기 제작은 송(宋) ·원(元)나라를 거쳐 명(明) 청(?)시대까지 계속되었다. 이러한 명기를 껴묻는 풍습은 한국에도 전래되어 조선시대에 유행하였는데 주로 현실생활에서 사용하던 용기를 실제보다 작게 만든 그릇류나 죽은 사람이 평소 애용하던 물건‚ 주변 사람을 본떠 만든 인물상이나 동물상이 많았다. 고대의 풍습인 순장(殉葬) 대신 명기를 부장한다는 뜻도 있어 이것을 묻으면 죽은이의 영혼이 위로를 받는다고 믿었다. 이러한 명기를 만드는 풍습은 대개 조선시대 전기에 많이 나타나고 인조 이후에는 실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 나라에서 출토된 명기류는 광주시립민속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 노옥손의 묘에서 출토된 분묘 출토 명기류(광주민속자료 제6호)가 있고 호암 미술관 소장품인 청화백자 초화.칠보무늬 명기류가 있다. 이 백자 발는 작게 만들어진 명기로써 크기가 일반 그릇보다 작은 축소형일 뿐 태토나 기형 등에서 시기적이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내측사면이 사선으로 벌어지면서 구연이 외반하는 기형이다. 평저의 바닥에는 모래를 받쳐 번조한 흔적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