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 무문 정병(靑磁 無文 ?甁)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 무문 정병(靑磁 無文 ?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병은 범어로 쿤디카 (Kundika:가늘고 긴 목을 가진 물그릇을 뜻함)라 하여 깨끗한 정수(?水) 또는 감로수(甘露水)를 담는 병을 말한다. 『법화경(法華經)』에 의하면 서등 관정 의식에서나 스님의 필수품인 18가지 물건(삼의‚ 버들가지‚ 세수대야‚ 병‚ 밥그릇‚ 깔개‚ 지팡이‚ 향로‚ 물주머니‚ 수건‚ 칼‚ 거 울‚ 족집게‚ 의자‚ 경전‚ 율‚ 불보살상)의 하나로 쓰이는 귀중한 불구로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 그 용도가 변하여 불전에 바치는 깨끗한 물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그 용도의 폭이 넓어졌다. 이 정병은 고려불화를 보면 관음보살의 옆에 놓이기도 하고‚ 조각에서는 관음보살상이 손에 쥐고 있는 지물이기도 하다. 즉 부처님 앞에 바치는 공양구로써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상징하는 지물(持物)의 기능도 함께 하고 있다. 또 불교의식을 인도하는 승려가 솔가지로 정병안의 감로수를 뿌림으로써 모든 마귀와 번뇌를 제거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불교의 융성과 함께 많이 제작되었는데 고려시대의 정병에 대하여는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가늘고 긴 목에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넓은 부분에는 뚜껑이 있고 주둥이가 있는 독특한 형태라고 묘사되어 있습니다. 정병의 재료로는 청동제와 도제(陶製)가 있고 장식문양은 은입사(銀入絲)기법과 상감기법을 독특하게 이용하며 버들‚ 갈대‚ 물새‚ 배 등을 몸 전체에 회화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한 뛰어난 작품들이 많이 남아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국보 92호 『청동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이다. 정병의 형태를 보면 몸체와 목에 해당되는 경부(經部)‚ 뚜껑과 물을 넣고 빼는 호스와 같은 첨대(尖臺)와 입구인 주구부(注口部)로 구성된다. 몸체에는 물을 따르는 입구가 달려 있는데 주둥이를 구부(口部)라고 하며 그 모양이 새의 부리와 같다고 하여 귀때라고도 한다. 이 청자 무문 정병도 둥근 몸체 윗쪽에 짧은 주구(注口)가 돌출되어 있으며 긴 목 위에는 둥근 테와 높은 8각 첨대(尖臺)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밑바닥으로 가면서 완만하게 좁아져 투박한 느낌이 든다. 평저의 바닥과 동체 저부의 이음새도 거칠다. 유색은 옅은 녹황색으로 유약이 흘러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