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 퇴화 점문 유병(靑磁 堆花 點文 油甁)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 퇴화 점문 유병(靑磁 堆花 點文 油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병은 항아리 형태에서 어깨를 발달시켜 주둥이의 크기를 작게 하고 목의 길이를 길게 만든 형태이다. 종류로는 술병‚ 기름병‚ 젖병‚ 각병(角甁)‚ 촛병‚ 화병‚ 자라병‚ 호리병(狐狸甁)‚ 편병(扁甁)‚ 정병(?甁)‚ 매병(梅甁) 등이 있다. 형상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각기 독특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병과 같이 크기가 작은 소병(小甁)은 그 쓰임새를 기름을 담아놓는 유병(油甁:기름병)으로 추정하는데 고려시대 여인들이 머리에 바르는 동백기름이나 아주까리 기름과 같은 머리 기름을 담는 병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이들 유병들은 동그랗고 납작한 몸체에 당초문. 연판문. 국화문 등의 문양을 소박하게 넣어 여인들의 은근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대부분의 유병은 입(구연)이 병목보다 넓고 운두가 깊어 마치 깔때기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병의 크기는 담아놓는 기름의 용도에 따라 다르다. 각 시대마다 토기‚ 청자‚ 백자‚ 옹기‚ 석간주 등 여러 가지 재질로 기름병을 만들어 썼으며 짐승의 뿔로 만든 각병(角甁)도 있었다. 퇴화기법은 철분이 많이 포함된 자토나 백토 안료를 붓을 이용하여 문양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는 철화기법과 같으나 안료가 그릇 표면에 두텁게 발라져 문양 부분이 도드라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약과 함께 문양이 떨어져 나간 예가 있다. 이 기법은 음?양각이나 상감 기법의 문양 주위‚ 그리고 상형청자의 보조문양으로서 선이나 점을 나타내는데 이용되거나 주문양 전체를 표현하는데 이용된다. 후자의 경우 국화‚ 모란‚ 버들‚ 야생화‚ 운학‚ 나비 등을 간략하게 선묘하거나 백토를 문양의 윤곽까지 대충 바른 후 마치 분청사기의 박지 기법과 같이 배경을 긁어내어 문양의 윤곽을 나타낸다. 타 기법과 달리 사실적인 문양 묘사보다는 단순화시키거나 왜곡된 경우가 많으며 철화기법과 같이 붓을 이용한 관계로 선이 보다 활달하고 자유스럽다. 이 청자 병은 주판알 모양의 동체를 가지고 있고 굽은 낮은 다리굽이다. 어깨 부분 4곳에 검은색 퇴화점이 3개씩 시문되어 있다. 유색(釉色)은 연한 녹청색으로 빙렬이 많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