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굽다리 손잡이 합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굽다리 손잡이 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일반적으로 합은 뚜껑이 있는 그릇을 말하는 것으로 신라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제작되었다. 이 유물은 전체적인 기형상 가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가야토기는 가야시대에 만들어져 주로 낙동강 서안 일대에서 출토되는 토기이다. 일반적으로 신라·가야 토기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동쪽은 신라토기‚ 서쪽은 가야토기로 분류되며‚ 예외적으로 성주(星州)지역은 서쪽이지만 신라토기로 규정되고 있다. 이 토기는 4세기를 기준으로 1-3세기의 전기단계와 4-6세기의 후기단계로 나누어 변천하고 있다. 전기는 웅천(熊川)조개무지의 토기가 중심이 되어 `웅천기(熊川期)`라고도 하며‚ 적갈색의 연질토기(軟質土器:瓦質土器)가 많이 만들어진 것이 특색이다. 이것이 4세기대에 이르면 종래의 연질 또는 와질계 토기가 쇠퇴하여 회갈색의 경질(硬質)토기로 대체되며‚ 굽다리접시[高杯]·각종 항아리류 등 여러 기종의 토기가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가야토기라 하면 바로 4세기 이후에 새로운 제도술(製陶術)에 의해 1‚000℃ 이상의 온도에서 구워낸 단단한 질의 도질토기(陶質土器:硬質土器)를 말한다. 당시 김해·부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은 타지역과 다른 독특한 토기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 지역권이나 시간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굽다리접시 등의 경우‚ 소위 부산·김해식의 토기와 이들 지역을 제외한 다른 영남지역의 토기가 서로 다른 양식을 보이고 있었다. 이처럼 4세기대에 있어서 영남지역의 토기는 2대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항아리[壺]나 그릇받침[器臺] 등은 와질토기로도 계속 만들고 있었다. 그러다가 4세기 말-5세기 초가 되면 종래 가야식 토기와 신라양식 토기로 부르던 토기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이후 이들 토기는 당시의 정세변화에 따라 크게 낙동강을 경계로 그 동쪽 지역은 신라양식의 토기(낙동강 동안양식)가‚ 서쪽 지역은 가야양식의 토기(낙동강 서안양식)가 널리 사용된다. 신라양식의 토기는 2단 투창(透窓)이 상하 엇갈린 굽접시를 표지로 하며‚ 대부분의 토기가 직선적으로 만들어져 있다. 반면 가야양식의 토기는 2단 투창이 상하 일직선으로 나 있는 굽접시를 표지로 하며 대부분의 토기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토기가 양식적으로는 크게 둘로 구분되어 있으나 신라가 가야를 멸망시킬 때까지 각 지역마다 독자적으로 토기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함안식(咸安式)‚ 사천(泗川)·고성식(固城式)‚ 고령식(高靈式)‚ 부산식(釜山式)‚ 창령식(昌寧式)‚ 대구식(?邱式) 등으로 불리는 토기들이 그것이다. 이러한 가야의 토기에는 항아리·목항아리·단지·그릇받침·잔·시루·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토기의 용도에 따라 색깔이 달랐는데‚ 항아리형토기·바리·시루 등의 음식을 끓이는 데 쓰는 토기는 주로 적갈색으로 만들어졌고‚ 굽다리접시 등 저장용 토기는 주로 회갈색 경질토기로 만들어졌다. 또 음식 공헌용(供?用)의 소형 항아리나 잔은 적갈색이 많았다. 한편 가야지역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그릇모양과 무늬 등의 세부적인 면에서 서로 차이를 보여 고령군·함안군·김해시 등 여러 지역군으로 구분되는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가야토기는 원삼국시기 회색 경질토기의 전통을 잇고 있는 것이며‚ 일본에도 전해져 일본 고분시대의 대표적 토기인 스에키[須?器]의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굽다리접시 등 신라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 있다. 그러나 가야토기는 같은 종류의 토기라도 신라토기에 비해 날렵하고 세련되게 만들어져 있으며 신라지역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동물·집·신발·배·수레·등잔 등의 상형토기(象形土器)와 용도를 알 수 없는 이형토기(異形土器)들이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에는 죽은 자를 위한 음식물이 담겨져 있었다. 이와 함께 기마인물형토기‚ 뿔잔‚ 배모양토기‚ 집모양토기 등 각종 이형토기는 사자(死者)를 명부(冥府)세계에 보내는 장송(葬送)의 의미를 가진 것들이 많다. 이 밖에 적갈색의 연질토기도 함께 만들어져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질의 토기는 주로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