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막새 기와편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막새 기와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점토를 재료로 하여‚ 제작틀을 사용해 일정한 모양을 만든 후 고온에서 구워낸 건축부자재이다.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이 새는 것을 막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하며‚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기와는 삼국시대부터 본격적으로 만들어졌는데 고대의 기와는 대부분이 국가적인 사업의 하나로 생산되어 비교적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지만‚ 각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어서 당시의 문화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 1. 기와의 종류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2. 조선시대의 기와 조선시대의 기와는 도읍지인 서울을 비롯하여 각 지방의 관아‚ 산성‚ 향교‚ 사원 등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서울에는 당시의 궁궐인 경복궁‚ 창경궁‚ 덕수궁이 그대로 남아 있거나 일부 복원되어 조선 후기의 기와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조선시대에는 암‚ 수키와와 마루기와 그리고 사래나 추녀에 사용되는 토수 등이 제작되었는데‚ 이 중 망새를 제외한 마루기와와 토수 등은 궁전 건축이나 관아 건물에만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기와는 이전시대와는 달리 사용범위가 민가로까지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데 이러한 일반 건축에 사용된 기와는 암‚ 수키와‚ 막새‚ 그리고 마루에 사용되는 망새로 한정된다. 전반적으로 조선시대의 기와는 기능성이 강조된 반면 장식성이 약화된 양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종래에 주로 장식용으로 제작되던 타원막새‚ 치미‚ 귀면기와‚ 마루막새‚ 서까래기와‚ 모서리기와 등은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 문양에 있어서도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이어졌던 문양의 불교적 상징성과 화려한 장식성이 현저하게 약화되는 대신‚ 기와의 실용적 기능성과 기복적인 성격이 강조되어 있다. 대개 암막새는 좌우에 굴곡이 있는 삼각형이고‚ 수막새는 밑이 쳐진 하트모양 혹은 계란모양이다. 막새 무늬로는 연꽃‚ 초화‚ 새‚ 도깨비‚ 사람얼굴‚ 용‚ 봉황 등이 이용되었으며 새롭게 수(壽)‚ 복(福)과 같은 기복적인 성격의 문자가 새겨졌다. 특히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된 사람 얼굴은 해학적이고 익살스러운 느낌을 자아내어 조선시대 기와의 한 가지 특징을 이룬다. 한편 암막새의 경우 무늬를 대신하여 그 기와의 제작 연대나 기와가 사용된 건물과 관련된 내용을 담은 글이 새겨지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원래 용마루 양 끝에 세워지던 치미가 취두와 용두로 바뀌었으며‚ 곱새기와가 망새‚ 바래기‚ 토수로 대치되었다. 규모가 큰 건물에는 귀마루(추녀마루)에 각종 잡상이 배치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