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민영환간찰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민영환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민영환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민영환(閔永煥) 1861년(철종 12)-1905년(광무 9)‚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문약(文若)‚ 호는 계정(桂庭)이다. 명성황후의 조카. 백부(伯父)인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태호(泰鎬)에게 입양되었다. 1877년(고종 14)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고‚ 이듬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그 능력을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그 뒤 정자(正字) ·수찬 등을 거쳐 1881년 동부승지(同副承旨)‚ 1882년 성균관대사성으로 승진하였다. 그 해 생부 겸호가 임오군란으로 살해되자‚ 벼슬을 버리고 3년간 거상(居喪)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병세(趙秉世)와 함께‚ 백관(百官)을 인솔하여 대궐에 나아가 이를 반대하였다. 일본 헌병들의 강제 해산으로 실패‚ 다시 백목전도가(白木廛都家: 육의전)에 모여 상소를 논의하던 중‚ 이미 대세가 기울어짐을 보고 집에 돌아가 가족들을 만나본 뒤 조용히 자결하였다. 당대 제일의 권문세가 출신으로서‚ 현직(顯職)의 명예를 던지고 망국(亡國)의 슬픔을 죽음으로써 달랬다. 의정대신(議政?臣)에 추증‚ 고종의 묘소에 배향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중장(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今番 袁慰廷所呈十四疑 有答送之聖意 而辭意則數百年事?親密?捨 壬甲兩年 再造皇? 邱山有輕重 而以此事 至於皇上睿燭 到底感誦 礪精圖副之意 ?構答艸 以人事承聆 故玖仰陳耳 泳煥生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