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김로진간찰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로진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김로진의 간찰 성대중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김로진(金魯鎭) (영조11년 1735 ∼ 정조12년 1788)‚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성첨(聖瞻)이다. 영조33년에 정시문과급제. 대사헌 형조판서 국조보감찬집당상 우참찬 역임. 頃上候書 狀?下覽 乍寒復暖 冬候乖甚 伏未審近間 旬宣體度諸節更若何 鄭友之?逝 誠意? 問其病勢己痼 難望復起 而?渠爲人 豈遽至於?閼 而其爲慘?不可言 近來以來 遠??慽之報?有傷於衰境攝養之節 區區伏慮當?何 且問勅寄己發 客行將費灣府 迎送之際 又將費?擾之端 而當寒原?之勞 尤庸伏? 第明?憂? 近?脫危云 ?是爲幸耳 戚從? 親候近?差復 侍狀幸無他撓 餘何伏達 舍叔之被譴出郊雖甚?蹙 可免 籌司?忙之苦 未爲不幸 而第以?臺一啓 聖心激? 駕幸彰義宮 至有丁西故事之敎 雖幸旋卽反汗 未安之敎 連發於筵席 而停達之論 己屬於其兄 今明過齋后 當卽殺敎云耳 向來親鞫 不過宦侍官?輩 交結雜技 致有偸出簾帳之變 而酌處時 敎以乙亥以後予 不以徑殺 人命爲心 故罪雖可殺 而?減死爲敎云矣 書筵逐日連行 而今?以後 寂然無他聞 文義發問之際 批旨斟酌之間 俱可以聳服群?云 無彊之休 ?祝何言 往見從兄 則初九後 欲卽還發云 其時 當更上候 ?不備 伏?下監 上候書 己卯臘月初六日 再從? 金魯鎭上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