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진간찰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진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유진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유진(柳袗) 1582(선조15년)-1635(인조13년) 풍산(豊山)사람으로 자는 계화(季華) 호는 수암(修岩)이다. 광해군2년에 사마시합격‚ 유일로 천거되어 세자익위 사세마 형조정랑 청도군수 지평역임. 병산서원에서 제향. 저서로 수암집이 있다. 向在赤羅 每逢人自宣城來者 輒問兄安否 又問兄來未 ?知 兄有膝下之慟 區區賤誠 實切驚慮 而事故迫人 且無信便 不能修一書以慰 繼○有聞韶之行 觀○ 非所?也 而實欲與兄 穩做一?之款 故勉强作計 一直道中 遇金上舍孝伯 不暇出一言 首問兄之來 故勉强作計 一直道中 遇金上舍孝伯 不暇出一言 首問兄之來 孝伯亦未詳知 但傳○○ 方行疫 而其勢己過?半 無可憂 然或有來意云 及到試所 又問于以志兄 以志久在聞韶 亦不能?兄意 但以所聞道之 ?孝伯焉 私心自謂 兄之?傷己久矣 疫?己殄矣 兄何可不來 若來 則雖不及於初場 至於中場終場 則應有相遇之期 豈知三場旣過 而兄終不來耶 所冀 若時保重 以慰瞻望 尺書寄音 未盡?曲 矯首停處 懷?無己 伏?心照 謹拜上復狀 己八月卄七日 袗拜 頓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